(서울=뉴스1) 금준혁 기자 = 금융업계가 정부에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정책에 힘을 실어 달라고 요청했다. 정부는 밸류업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고 아직 도입되지 않은 인센티브 방안도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8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초청해 금융산업위원회 제42차 전체 회의를 개최해 이런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의 위원장 취임 후 두 번째 공식 행사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을 비롯해 김신 SKS PE 부회장, 이석현 현대해상화재보험 대표이사,편정범 교보생명 특별경영고문 등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했다.
진 위원장은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밸류업 정책은 한국 금융이 마주하고 있는 중요한 과제"라며 "금융위원회에서도 강한 의지를 갖고 계신 만큼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금융산업계 전반의 절실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참석 위원들도 "기업 입장에서는 인센티브가 언제 도입될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덜컥 공시부터 하기는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에 김 부위원장은 "한국은 잠재성장률의 하락, 급속한 고령화 및 자본시장 저평가 등 어려운 여건에 처해 있다"며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자금조달 및 혁신성장과 국민들의 안정적인 자산소득 확보를 지원하는 자본시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관점에서 밸류업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고, 아직 도입되지 않은 밸류업 우수기업에 대한 세제 인센티브 등도 국회에서 빨리 통과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밸류업 우수기업에 대한 세제 인센티브 도입 및 소급 적용 △장기보유주식 등에 대한 세제 혜택 도입 △금산분리 규제 개선 등을 건의했다.
특히 밸류업 우수기업에 대한 세제 인센티브는 지난해 정부가 도입을 추진했지만 야당 반발로 백지화됐다. 현재 총 124개 상장사가 밸류업 계획을 공시(예고공시 포함)했으나 주로 대기업과 금융지주 중심으로 이뤄져 있으며, 코스닥 상장사는 23개 사에 불과하다.
이밖에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혜택 확대 의견도 있었다. 한 참석자는 "ISA 비과세 한도 및 납부 한도를 확대하는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고 있었으나 최근 야당 안도 발의되는 등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며 "국민의 자산 증식과 주식시장 부양에 효과가 큰 정책일 것으로 생각되는 만큼 여·야·정 합의가 빨리 이루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향후 전체 위원이 참석하는 금융산업위원회 회의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전체 회의를 시작으로 금융사들과 정부 간 직접 소통을 늘리고 정부와 협상하는 가교 역할을 강화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rma1921k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