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도입, 점진적 확장 전략 효과적…구성원 기량·보상 연계돼야"

경총, 디지털 전환기 임금·HR 연구 상반기호 발간

본문 이미지 -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기업들이 인공지능(AI) 중심의 디지털 기술을 준비 없이 도입해선 실패할 가능성이 크기에 점진적으로 확장해야 하며 구성원의 스킬(기량)과 보상을 연계하는 인적자원 관리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황공주 딜로이트컨설팅 상무는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4일 발간한 '임금·HR 연구 2025년 상반기호'에서 "AI 중심의 디지털 기술은 조직의 혁신을 촉진하고 성과를 극대화하는 핵심 동력"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임금·HR 연구'는 기업의 합리적인 인사 관리를 지원하고자 연 2회 발간하는 정기 간행물이다. 경총은 이번 상반기호 특집 주제를 '디지털 전환기 HR 이슈와 전망'으로 선정했다.

황 상무는 또 "AI 중심의 디지털 기술을 기업들이 준비 없이 도입해선 실패 가능성이 크기에 단계적으로 접근, 작은 성공 사례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전략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손송민 머서코리아 상무는 "AI와 같은 신기술 발전과 도입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구성원이 갖고 있는 스킬이 인사 관리의 기준점이 될 것"이라며 "스킬과 보상이 연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주호 카이스트 전산학부 교수는 "기초를 충분히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AI에 과도하게 의존하면 사고력과 문제해결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면서 "초기에는 AI 도구를 통한 빠른 성취 경험을 제공하되, 점차 업무의 기본 원리와 개념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고 최종적으로 AI와 수동 작업을 균형 있게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오상진 경희대학교 인적자원경영MBA 주임교수는 "미래의 리더는 기술과 인간성의 조화를 이루는 균형 잡힌 시각을 가져야 한다"고 했고 이중학 가천대학교 경영학부 HR 데이터전공 교수는 "HR 부서는 AI 기반 예측 모델로 직원의 몰입도, 이직 가능성 등을 분석하면 선제 대응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백진기 한독 대표이사는 특집논단에서 HR 부서가 담당했던 업무가 간소화되면서 인사 담당자들의 설 자리가 없어질 것이라고 전망한 후 "경영과 조직원을 이해하고 조직의 가치 창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야 존립할 수 있다"고 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AI가 우리나라의 낮은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AI와의 협업을 통한 생산성 혁신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goodday@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