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값 인상' 포문 연 JTI코리아…KT&G·필립모리스·BAT는?

카멜 등 9종 인상, 세금 인상 아닌 마진율 개선 의도
"타 업체도 4500원 미만 담배 인상 고려 가능"

서울의 한 편의점에서 담배가 판매되고 있다.(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뉴스1 ⓒ News1
서울의 한 편의점에서 담배가 판매되고 있다.(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뉴스1 ⓒ News1

(서울=뉴스1) 이형진 배지윤 기자 = 최근 식료품 가격이 연이어 인상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기호식품으로 분류되는 담배도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다음달 1일부터 JTI코리아는 메비우스·카멜 등 9종의 담배 제품 가격을 최대 200원 인상한다.

구체적으로 '메비우스 LBS' 시리즈 5종(선셋비치·스파클링듀·시트로웨이브·맥스옐로우·아이스피즈)은 기존 4500원에서 4600원으로, '메비우스 이스타일 6'과 '이스타일 3'은 4200원에서 4300원으로 각각 100원씩 오른다. 카멜 블루''와 '카멜 필터'는 4000원에서 4200원으로 200원 인상된다.

업계에서는 가격 인상 배경에는 마진율 개선이 깔려있다고 평가한다.

2015년 정부의 담뱃세 인상에 따라 KT&G(033780), 필립모리스, BAT로스만스 등 주요 담배 업체들이 일괄적으로 인상 후 담배 가격은 사실상 4500원으로 고정돼 있다.

다만 업계에 따르면 일부 업체들은 4500원 미만에 비주력 제품들에 대해서는 일부 가격을 조정했던 경우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세금 인상 탓에 담배 가격 자체가 2배 가깝게 오르면서 큰 규모의 가격 인상은 어렵고, 소비자 관심이 덜한 품목에 한해 알게 모르게 가격을 인상했다는 것이다.

담뱃세로 인한 가격 인상도 10년 전 일이고, 담배 업체들도 인건비·물류비·환율 등 각종 제반 비용에 대한 압박도 적지 않다.

아직까지 JTI외의 KT&G, 필립모리스, BAT로스만스 등에서는 가격 인상 여부에는 "계획 없다"는 반응이다. 그럼에도 "제반 비용이 상승하고 있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 담배 업계 관계자는 "2015년 이후 인건비 등 인상 요인은 있었지만, 큰 가격 인상을 하지 못했다"며 "여전히 4500원 미만의 제품들의 가격은 다른 업체들도 여럿 보유하고 있어 이런 제품들은 고민해 볼 만 하다"고 말했다.

hjin@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