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강 기자 = 최근 식품업계의 가격 인상 움직임이 잇따르는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가 담합 여부 감시를 시사하자 업계 반발이 커지고 있다.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한 방침으로 감시를 예고했지만, 업계는 "가격 인상의 구조적 원인을 파악하지 않은 일방적인 접근은 피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가격 인상이 원부자재 가격과 환율 상승 등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이며, 최대한 자체적인 절감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9일 식품업계 관계자는 공정위의 담합 감시 예고에 "최근 업계 전반의 가격 인상 원인은 인건비와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이 원인일 뿐 담합과는 무관하다"며 "식품이 서민 물가와 밀접한 만큼 내부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아니면 가격 인상은 최대한 자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과거 담합으로 과징금을 부과받은 경험이 있는 빙과·제과 업계는 특히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몇 년 전 주요 제조사들이 담합으로 역대 최대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는데, 지금 담합을 저지른다는 건 말도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물가가 비정상적으로 오른 현재, 가격 인상 과정에서 위법적 요소가 없는지 파악하는 기관 본연의 감시 업무를 이행하는 것으로 기업을 향한 가격 인하 압박의 의도는 없다"며 "담합 등 불공정행위 감시 과정에 불가피한 인상 요인이 있다면 종합적으로 고려될 뿐"이라고 설명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는 1년 전보다 3.6%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률(2.1%)을 넘겼다. 실제로 올해 1월부터 주요 식품업체 10여 곳이 가격 인상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업계는 감시를 논할 상황이 아니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영업이익조차 제대로 나오지 않는 현실 속에서 '담합이 있었다'는 전제 자체가 현장을 이해하지 못한 판단이라는 지적이다.
업계 입장에서는 공정위의 감시를 '압박'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한 가공식품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들여다보겠다고 하면, 아무리 떳떳해도 기업 입장에서는 압박으로 느껴질 수밖에 없다"며 "원자재와 인건비 부담이 큰 상황에서 담합을 언급하며 감시를 예고하는 것은 과도한 처사"라고 말했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물가 상승과 관련해 담합 등 불공정 행위 여부를 들여다볼 방침이다.
한기정 공정위원장은 지난 7일 간부회의에서 가격 인상이 담합이나 불공정 거래에서 비롯된 것이 있는지 철저히 감시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최근 국무위원 간담회에서 식품업계 가격 인상에 대한 공정위의 적극적인 관심과 대응을 요청받은 데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thisriv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