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윤수희 기자 = 명품 플랫폼 발란이 기업회생 신청을 했다. 불과 반년 사이에 티몬·위메프, 홈플러스에 이어 발란까지 무려 3곳이 유동성 문제로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유통업계 내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발란은 이날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발란은 지난달 24일 판매 대금 정산이 중단됐고, 28일 결제가 막히면서 플랫폼 운영이 중단됐다.
최 대표는 "재무 점검 과정에서 일부 과다 정산 오류가 발견됐다"며 "28일 구체적인 실행안을 발표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이를 다음 주(31일 이후)로 미루더니 결국 회생 신청 소식을 알렸다.
발란의 재무 상태는 '적신호'가 켜진 지 오래였다. 2023년 12월31일 기준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발란의 유동부채는 138억 원으로 유동자산(56억 원)보다 2배가 넘는 자본잠식 상태였다.
다만 발란의 부채 규모가 3000억 원을 넘지 않아 서울회생법원은 사건을 회생법원장 재판부가 아닌 일반 재판부에 배당했다. 발란의 미정산 금액은 300억 원에 못 미친다.
발란의 기업회생 신청까지의 과정은 정산 시스템 오류라 주장하다 법정관리에 들어간 티메프, 단기 유동성 위기에 기습적으로 회생 신청한 홈플러스와 여러모로 유사하다.
최 대표는 "회생 인가 전 M&A를 추진해 현금흐름을 개선한다"는 계획이지만 유통업계 전반의 불황을 고려할 때 인수까지의 과정은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 대표는 "판매자들의 미지급 채권을 전액 변제하겠다"고 했으나, 불신이 고조되면서 일부 판매자들은 이미 최 대표를 사기 및 횡령 혐의로 고소했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호황을 누리자 너도나도 뛰어들었던 온라인 플랫폼 사업의 경쟁력은 바닥까지 내려갔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2022년 시리즈C 투자를 유치할 당시 3000억 원으로 인정받았던 발란의 기업가치는 변화한 소비패턴, 명품 시장의 침체를 겪으며 최근 실리콘투 투자를 받을 땐 300억 원 수준으로 떨어졌다.
발란뿐 아니라 온라인 플랫폼 기업 중 흑자 경영을 하는 건 극히 일부에 그친다. 크림은 완전 자본잠식 상태이고 대기업 계열사마저도 오랜 적자에서 벗어나기 위해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에 나섰다.
코로나19를 거치며 소비 추세가 온라인으로 넘어가면서 오프라인 유통 사업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연간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온라인 매출 비중은 오프라인 매출을 2년 연속 넘었다.
결론적으로 온라인은 쿠팡, 오프라인은 다이소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유통 기업이 부진을 겪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때 기업가치 4조 원으로 유니콘(기업 가치 1조 원 이상)으로 꼽히던 컬리의 시가총액은 5000억 원대"라며 "온·오프라인 모두 혁신적인 수익모델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소비자의 신뢰를 얻지 못한다면 제3, 제4의 티메프 사태는 언제든지 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ys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