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윤수희 기자 = 국내 편의점업계 '양강' BGF리테일(282330) 운영 CU와 GS리테일(007070) 운영 GS25가 해외 시장에서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K-컬처에 익숙한 아시아 지역에서 'K-편의점'이 호응을 얻자, 점포 수를 빠르게 늘리며 영향력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기준 CU와 GS25의 해외 점포 수는 각 637점, 626점이다. 두 업체 모두 현지 기업과 제휴를 맺어 경영 노하우를 이식하는 마스터프랜차이즈(MFC)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유통업계 최초로 글로벌 600호점을 돌파한 CU의 '1등 공신'은 몽골이다. 몽골 CU의 점포 수는 460개로 현지 업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0%에 달한다. CU는 올해 안에 500호점 돌파를 기대하고 있다.
주목할 부분은 성장 속도다. 2018부터 100호점을 개점하기까지 약 26개월, 200호점까지 약 18개월이 걸렸으나, 300호점 개점은 약 10개월이 소요됐다. 지난해 7월 400호점 달성 후 60개가 늘어나기까지 걸린 시간은 불과 8개월이다.
성장 배경엔 'K-컬처'가 있다. 한국식 먹거리가 인기를 끌면서 하루 평균 객수는 한국의 약 3배 수준인 1000여 명, 자체 브랜드(PB) 'GET커피' 판매량은 한국의 10배가 넘는 200여 잔으로 집계됐다.
더불어 150점을 운영 중인 말레이시아는 2021년 4월 1호점을 오픈한 지 1년여 만인 2022년 7월 100호점을 돌파했다. 현지 업계 최단기간 기록이다. CU는 2028년까지 500점 이상 개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3월 1호점을 연 카자흐스탄에선 27점이 운영 중인데 점포 매출의 약 65%가 한국 상품일 정도로 한류의 영향력이 크다. 2029년까지 500개 이상 점포를 목표로 하고 이후 인접 국가까지 추가로 진출할 계획이다.

GS25는 베트남 시장에 주력하고 있다. 2018년 1월 호찌민에 1호점을 연 이후 올해 2월 말 기준 점포 수는 355점까지 증가했다. 올해 3월에는 동화약품의 베트남 체인인 '중선파마'와 협업해 약국 숍인숍 매장을 최초로 선보였다.
2021년부터 브랜드 편의점 중 유일하게 가맹점 사업을 전개하고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도 공격적인 출점 전략을 유지한 결과, 4~6년 먼저 진출한 써클케이, 패밀리마트를 제치고 남부 베트남에서 점포 수 1위, 베트남 전 지역으로도 점포 수 2위를 차지했다.
베트남 수도인 북부 지역 하노이에도 처음으로 6개 매장을 동시 오픈하며 진출했다. 올해엔 약국 숍인숍 매장 10여 개, 북부지역 내 40여 개 개점을 목표하고 있다.
뒤이어 2021년 진출한 몽골에선 진출 초기 34점이던 점포 수가 올해 2월 말 기준 271점까지 9배 가까이 증가했다.
GS25 관계자는 "기존 진출 국가는 사업 안정화·고도화를 통해 수익 모델을 확립하고, 가능성 있는 신규 지역으로의 진출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ys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