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신건웅 기자 =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MBK)가 지난 2월 신용평가사의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 통보 이후 열린 재심에서 1000억 원 한도의 크레딧 라인(신용공여 한도)을 제공하기로 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신용평가사들은 MBK가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 사실을 사전에 인지했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재심에서 MBK가 1000억 원의 신용공여를 제안했다면, 하락을 미리 인지했다기보다는 끝까지 막으려 했다는 주장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지난 2월 25일 한국기업평가로부터 단기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하락하게 될 것이라는 내용을 전달받았다.
이에 홈플러스와 MBK는 이튿날인 26일 재심을 요청하고, 두 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가장 먼저 홈플러스가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상환 조건을 변경하는 방안이다. RCPS는 발생사로부터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상환권,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권, 이익배당에서 우선권이 있는 우선주다.
MBK는 특수목적법인(SPC)인 한국리테일투자를 대상으로 발행한 RCPS의 상환권을 홈플러스로 변경해 해당 부채를 자본으로 회계처리하도록 변경했다. 이를 통해 잔액이 약 1조1000억 원에 달하는 RCPS가 부채가 자본으로 변경되면 부채비율이 낮아진다.
또 업무집행사원(GP)의 1000억 원 규모의 크레딧 라인도 제공하기로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가 요청하면 MBK가 1000억 원 한도의 자금을 자체 신용 등을 통해 조달해 주는 방식이다. 홈플러스의 단기 유동성 문제가 생겼을 때 MBK가 1000억 원까지 지원을 보장해 주겠다고 약속한 셈이다.
그동안 홈플러스는 채권을 팔 땐 신용등급 강등을 예측 못 했단 입장을 유지했지만, 금융당국은 신빙성이 낮다고 봤다. 신용평가사들이 2월 중순 첫 기업설명(IR) 미팅 이후 홈플러스 측에 등급 하락 가능성을 경고해 왔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2월 26일 재심에서 MBK가 운용사 고유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나선 것이 알려지면서 신용등급 하락을 막으려고 했다는 MBK 주장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신용등급 하락을 인지했다면 굳이 추가 지원을 할 필요가 없어서다.
MBK 측은 "2월 26일 신평사 재심에서 MBK의 1000억 원 신용공여까지 제시할 정도로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했고, 신용등급 하락을 막고자 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용등급은 떨어졌고 이로 인해 시중으로부터 자금을 모으지 못해 부도 위기가 날 수 있을 거 같아 회생절차를 신청하게 이르렀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홈플러스와 MBK 관계자들을 증권선물위원장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검찰에 통보한 상태다.
keo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