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3월 가계대출 증가폭이 전월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급감했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기조와 신학기 이사 수요 둔화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대출 신청부터 승인까지 한두 달 시차가 있는 만큼 가계부채 증가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1일 은행권에 따르면, 주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31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38조 5511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월 말(736억7519억 원) 대비 1조7992억 원 늘었다. 2월 말에는 1월에 비해 무려 3조391억 원 늘었다.
이런 흐름을 감안하면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도 2월 대비 절반 수준인 2조 원 중반대로 전망된다. 앞선 2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 총액은 전월 대비 4조3000억 원 늘어난 바 있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세도 한층 더뎌졌다. 5대 은행의 3월 주담대 총액은 전월 대비 2조 3198억 원 증가한 585조6805억 원으로 집계됐다. 앞선 2월 말에는 1월 대비 3조 3835억 원 늘었다. 3월 증가폭이 1조원 이상 둔화된 셈이다.
가계대출이 한 달 만에 안정세를 보인 건 신학기 이사 수요 효과가 사라진 영향이 가장 크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신규 주담대 규모가 2월 마지막 주 정점을 찍고 3월 들어 축소됐다"며 "증감 양상도 지역 간 동일하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가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그동안 지속해서 대출 조이기를 주문했고 은행권은 신규 대출과 승인 추이 등을 지역별·월별 등으로 세분화해 관리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이날 임원 회의에서 "1분기 가계대출 관리 목표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오는 7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시행을 앞두고 가계대출 총량에 대한 선제적 관리에 나선 영향도 있다. 앞서 금융당국은 구체적인 DSR 적용 범위와 스트레스 금리 수준을 오는 4~5월 중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시행이 임박하면서 대출 '막차 수요' 등이 우려되는 만큼 은행권도 관련 관리를 강화하는 상황이다.
3월 가계대출 관리는 비교적 선방했지만 마냥 안심할 순 없는 상황이다. 부동산 거래 계약과 대출 실행에는 1~2개월가량 시차가 있어서다.
특히 2~3월 금리 하락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시점에 대출이 급증했을 가능성이 있다. 시차를 감안하면 4월쯤 가계부채 증가 가능성이 작지 않다.
이 원장은 "서울·수도권 일부 지역의 주택 가격 및 거래량이 단기 급등한 영향이 3월 후반부터 가계대출에 반영되고 있다"며 "지역별 대출 신청·승인·취급을 보다 면밀히 모니터링·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지난달 월례 간담회에서 "집을 계약하고 보통 한 1개월, 좀 길면 2개월 정도 있다가 대출 승인이 난다"며 "특히 (집값이 비싼) 서울 지역에 집중돼 있기 때문에 긴장감을 놓치지 않고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했다.
kjh7@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