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동해 김도엽 기자 = 케이뱅크가 업비트와의 제휴 종료에 대비한 '비상계획'을 마련하라는 금융당국의 지시를 받고 이를 이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최근 금융감독원에 업비트와의 제휴 종료를 대비한 대응책을 수립해 제출했다. 이는 금감원의 비상계획 마련 요구에 따른 조치다.
앞서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는 케이뱅크의 업비트 수신 비중이 높아 제휴 종료 등으로 예치금이 일시적으로 빠져나갈 경우 '뱅크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특히 올해 10월 케이뱅크와 업비트 사이의 기존 제휴 계약이 종료될 예정이라 이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올해 1분기 기준 케이뱅크의 전체 수신액 중 업비트 예치금의 비율은 약 20%에 달한다.
이런 '자금 쏠림' 지적에 금감원은 케이뱅크의 업비트 예금 및 운용 현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왔으며 제휴 종료 상황에 대비한 대응책 마련도 주문했다.
다만 케이뱅크는 지난 2023년 말부터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산정 시 업비트 수신의 100%가 유출되는 것으로 가정해 LCR을 산출하는 등 이른바 '뱅크런'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다.
지난해 1분기 케이뱅크의 LCR은 147.66%까지 낮아졌으나 △2분기 178.68% △3분기 179.03% △4분기 178.04% 등으로 170%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규제 기준인 100%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한편 금감원은 케이뱅크가 기업공개(IPO)를 위해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경우 자금 편중도를 포함한 투자 위험 요소가 충실히 기재됐는지를 면밀히 심사하겠다는 방침이다.
potgu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