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폴' 재개봉 16년만에 10만 돌파…"재조명 놀라워, 부활한 것 같다"

타셈 싱 감독이 6일 서울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영화 '더 폴: 디렉터스 컷'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을 듣고 있다. 18년 만에 4K 리마스터링 작업을 거쳐 재개봉한 '더 폴: 디렉터스 컷'은 스턴트맨 로이(리 페이스)가 호기심 많은 어린 소녀 알렉산드리아에게 들려주는 모험담을 그린 영화로 관객 9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몰이 중이다. 2025.2.6/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타셈 싱 감독이 6일 서울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영화 '더 폴: 디렉터스 컷'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을 듣고 있다. 18년 만에 4K 리마스터링 작업을 거쳐 재개봉한 '더 폴: 디렉터스 컷'은 스턴트맨 로이(리 페이스)가 호기심 많은 어린 소녀 알렉산드리아에게 들려주는 모험담을 그린 영화로 관객 9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몰이 중이다. 2025.2.6/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장아름 기자 = '더 폴: 디렉터스 컷'의 타셈 싱 감독이 재개봉작임에도 국내에서 누적관객수 10만 명을 돌파한 소감을 밝혔다.

6일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는 영화 '더 폴: 디렉터스 컷'을 연출한 타셈 싱 감독의 내한 기자간담회가 진행됐다.

이날 자리에서 타셈 싱 감독은 2008년 한국 개봉 이후 16년 만에 국내 관객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데 대해 "마치 부활한 것 같다"며 "어떤 특별한 장애를 갖고 있는 아기가 있었다고 한다면, 이 영화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겨우 기어가는 그런 아기였다"고 비유했다.

타셈 싱 감독은 "그런데 20년이 지나서 그 아이가 갑자기 달리고 있는 것 같다"며 "이렇게 다시 한번 재조명받는다는 건 놀라운 것 같다"고 고백했다. 그러면서 그는 "영화를 만들 때만 해도 여자 친구에게 차였다는 상실감이 가장 컸다"며 "20년이 지나서 이 영화를 다시 보니까 그 당시에 상당히 어렸고 야심찼구나 생각이 든다, 오늘의 나라면 다시는 이 영화를 못 만들 것 같고 그 누구도 이 영화를 만들 수 없을 것 같다"고 고백했다.

한편 '더 폴: 디렉터스 컷'은 스턴트맨 '로이'(리 페이스 분)가 호기심 많은 어린 소녀 '알렉산드리아'(카틴카 언타루 분)에게 전 세계 24개국의 비경에서 펼쳐지는 다섯 무법자의 환상적인 모험을 이야기해 주는 영화로, 불가리아 영화 '요호호'(1981)를 리메이크했다. 지난 2006년 개봉 후 18년 만의 4K 리마스터링으로 지난해 12월 25일 국내 재개봉했다.

'더 폴'은 총 제작기간 28년, 캐스팅 9년, 장소 헌팅 19년, 촬영 기간 4년, 전 세계 24개국 로케이션이라는 역대급 기록을 지닌 작품이다. 2006년 토론토 국제 영화제 초연 당시에는 주목받지 못했지만 이후 나비 산호섬, 주홍빛의 사막, 하늘과 맞닿은 호수, 끝없는 계단, 수상 궁전 등 환상적인 비주얼과 명장면이 소셜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점차 재평가받기 시작하면서 글로벌 팬덤이 생겨났다. 이후 재개봉 요구가 이어지면서 4K 리마스터링 작업이 시작될 수 있었다.

타셈 싱 감독은 인도 출신의 CF 감독으로, 2000년 제니퍼 로페즈 주연의 판타지 스릴러 '더 셀'(The Cell)을 통해 흥행 감독이 된 후 '요호호'의 판권을 손에 넣었다. '요호호'는 그가 히말라야 기숙 학교 시절 본 작품으로, '더 폴'을 리메이크하면서 광고 감독이라는 직업을 활용해 CG 없이 판타지 세계를 구현하고자 했다. 이에 그는 장장 19년에 걸쳐 전 세계 곳곳에 숨겨진 아름답고 신비한 장소를 수집하며 영상미를 극대화한 독창적인 작품을 만들어갔다.

aluemchang@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