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이정현 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관계 부처와 함께 자동차 산업 비상 대책을 4월 중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오후 2시 안 장관 주재로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내 완성차 기업 및 관련 협회·연구기관들과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자동차·부품 업계 영향·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현대차(005380), 기아차(000270), 만도(204320), 현대모비스(012330), 인팩(023810), 자동차협회, 자동차 부품조합, 한국자동차연구원, 산업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안 장관은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로 우리 자동차 기업들의 대미 수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면서 "정부는 업계와 긴밀히 공조해 대응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뉴욕타임스(NYT) 등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백악관에서 수입차 25% 관세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25% 관세는 수입 승용차(세단, SUV, 크로스 오버, 미니 밴, 화물 밴)와 소형 트럭뿐만 아니라 주요 자동차 부품(엔진, 트랜스미션, 파워 트레인 부품 및 전기 구성 요소)에도 적용된다.
미국은 현재 승용차에 2.5%, 트럭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새로운 25% 관세가 추가되면 승용차는 27.5%, 트럭은 50%의 관세가 부과된다. 자동차 관세 부과 시점은 4월 3일이다.
다만 엔진 등 주요 부품에 대한 25% 관세는 최대 한 달간 유예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향후 연방 공지를 통해 주요 부품 관세 부과 일을 확정할 예정으로, 늦어도 5월 3일까지는 부과한다는 방침이다. 이 연방 공지를 통해 관세 부과 대상인 세부 품목별 코드도 공개된다.
euni1219@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