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지난 10년간 고혈압과 폐렴의 평균 입원 기간은 감소했으나, 병원이냐 의원이냐 의료기관 종류에 따라 입원 기간 차이는 여전히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2010~2019년 고혈압과 폐렴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 기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7일 이같이 공개했다.
지난 10년간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은 38.1일에서 7일로 31.1일(81.6%), 폐렴 환자는 16.1일에서 11.7일(27.3%)로 감소했다.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이 많이 감소하긴 했지만, 일반적으로 응급상황을 제외하면 고혈압을 주된 원인으로 입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고혈압을 앓고 있던 만성질환자가 병의원에 입원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원은 고혈압, 폐렴 환자의 입원 기간 차이가 나는 원인 중에서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을 분석했다.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은 동일한 질병을 가진 환자가 의료기관에 따라 입원 기간이 얼마나 달라지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다.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 '0%'일 때는 어느 병의원을 가더라도 입원 기간이 동일하다.
반면,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 ‘100%’일 때는 병원에 따라 입원 기간이 모두 다르다.
의료기관을 종합병원급 이상(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과 병원급 이하(병원‧의원)로 구분했을 때, 입원 기간 편차는 크게 나타났다.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은, 고혈압의 경우 종합병원급 이상 19.6%, 병원급 이하 51.8%, 폐렴은 각각 6.5%, 26%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병원급 이하에서 '어느 기관에 입원하느냐에 따라 입원 기간이 더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병원급 이하에서 입원 치료에, 비효율이 존재함을 시사한다"고 했다.
이어 "의료기관에 따른 입원기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혈압과 폐렴의 적정 진료에 대한 임상적 기준 정립이 필요해 보인다"고 전했다.
ksj@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