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구교운 기자 = 국민 10명 중 7명은 전문병원이 의료 공백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6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지난달 10~23일 20세 이상 성인 10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문병원 역할 대국민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115개 전문병원에서 진료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57.4%였다.
전문병원에서 진료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의 경우, 전문병원의 장점으로 '높은 진료 분야 전문성'(64.6%), '대학병원에 비해 짧은 대기시간'(40%), '합리적인 의료 비용'(32.4%), '친절한 의료진'(19.9%) 등을 꼽았다.
응답자의 66.9%는 전문병원이 지난해 이후 이어진 의료공백을 메우는 데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의정갈등 사태 후 전문병원에서 진료받은 경험이 있는 환자는 42.7%였다.
의료공백 해소에 도움이 된 이유로는 '수술 등 진료공백 해소'(63.8%), '응급실 등 응급의료 유지'(51.8%)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평가한 응답자들은 '소아과∙산부인과 등 필수의료 부족'(45.7%), '응급실 등 응급의료 미흡'(43.5%) 순으로 답했다.
국민 10명 중 8명이 전문병원의 역할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병원이 국내 의료 서비스 질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답한 비율은 82.5%, 지역 의료 격차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답한 비율은 78.6%에 달했다.
또 '현재 19개 분야의 전문병원에서 진료 항목을 더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53.4%가 '그렇다'고 답했다. 추가해야 하는 진료 항목으로는 '정신건강'(73명), '소아과'(66명), '노인의료'(32명) 등이 꼽혔다.
전문병원은 특정 진료과목이나 질환에 대해 난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하는 병원급 의료기관으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다. 현재 국내에는 복지부 지정 전문병원이 19개 분야에서 115개가 운영되고 있다.
질환별로는 △관절(25) △뇌혈관(4) △대장·항문(4) △수지접합(6) △심장(1) △알코올(8) △유방(1) △척추(15) △화상(5) △주산기(1) △한방중풍(2) △한방척추(10) 등 12개다. 진료과목별로는 △산부인과(11) △소아청소년과(5) △신경과(1) △안과(11) △외과(3) △이비인후과(2) △한방부인과(0) 등 7개다.
kuko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