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학령기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이어지는 가운데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협회)가 독감 관련 횡문근융해증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14일 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협회 회원 병원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횡문근융해증으로 인한 근육통, 보행장애, 짙은 색의 소변 등 임상 증상 건수가 78건에 달했다.
환아 대부분은 5∼12세 사이였다. 횡문근융해증 증상을 보이는 환아의 64%는 입원 치료가 필요한 상태였다.
횡문근융해증은 팔과 다리 등 움직임이 있는 부위의 골격근인 횡문근이 고체에서 액체로 융해되는 질환이다. 특히 미오글로빈이 신장에 손상을 주어 급성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
최용재 협회 회장은 "그동안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 소아 B형 독감과 관련한 횡문근융해증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라며 "B형 독감은 일반적으로 경증이지만 일부 아동에게는 바이러스성 횡문근융해증이라는 심각한 후유증이 나타나고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횡문근융해증은 조기에 발견하면 충분한 수액 치료와 전해질 조절만으로 회복할 수 있으므로 독감 회복기에 아이에게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검사를 받는 게 좋다"며 "소아는 본인의 증상을 명확히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호자들의 세심한 관찰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rn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