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GDP 성장률 1.3% '서프라이즈'…수출·소비·건설 모두 호조

9분기 만에 최고 성적…순수출 약 절반(0.6%p) 기여
대면 활동에 민간소비 0.8%↑…건설투자도 2.7%↑

본문 이미지 -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수출 회복과 대면 활동 확대에 따른 민간소비 증가 등에 1분기(1~3월) 한국 경제가 1.3% 성장했다.

수출만 아니라 민간소비, 건설까지 모두 호조를 보여 예상보다 높은 성장률이 기록됐다.

한국은행은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 분기 대비)이 1.3%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2021년 4분기(1.4%) 이후 2년 3개월 만의 최고치다.

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 당시의 성장률(0.6%)을 약간 웃돌 것이란 당초 시장의 기대보다 높은 성적이다.

전년 동기 대비 실질 GDP는 3.4% 성장했다.

본문 이미지 - (한은 제공)
(한은 제공)

수출은 이동전화기 등 IT 품목을 중심으로 0.9% 증가했다.

수입은 전기장비 등을 중심으로 0.7% 감소했다.

IT 위주의 수출 호황과 수입 감소가 성장률에 크게 기여한 상황으로 풀이된다. 수출은 전 분기(3.5%)보다는 낮아졌지만 3분기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수입은 전 분기(1.4%) 증가세가 감소세로 전환했다.

민간소비는 의류 등 재화와 음식·숙박 등 서비스가 모두 늘어 0.8% 성장했다.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내수 부진으로 민간소비가 위축될 수 있다는 세간의 우려를 떨쳐냈다. 전 분기(0.2%)보다 민간소비 성장세는 오히려 확대됐다.

한은 관계자는 "소비는 야외활동이 늘면서 의류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다"며 "신규 스마트폰 출시 효과도 있었다"고 말했다.

건설투자도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늘어 2.7% 증가세를 나타냈다.

부동산 경기 둔화,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우려를 깬 성장률이다.

이 관계자는 "건설 공사에 양호한 기상 여건이 뒷받침되면서 1분기 건설 기성액이 많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전 분기(-4.5%) 건설투자 성장률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도 영향을 미친 상황으로 보인다.

반면 설비투자는 운송장비가 줄면서 0.8% 뒷걸음쳤다.

정부소비는 물건비 지출 등이 확대돼 0.7% 성장했다.

본문 이미지 - (한은 제공)
(한은 제공)

1분기 GDP 성장에 대한 기여도(전기 대비, 계절조정계열)를 보면, 순수출(수출-수입)이 0.6%포인트(p)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였다.

이어서 민간소비와 건설투자 모두 0.4%P로 높은 기여도를 자랑했다.

정부소비와 지식생산물투자는 0.1%P 기여에 그쳤다. 설비투자는 성장률을 0.1%P 끌어내렸다.

민간이 성장률 1.3%p 전부를 기여했고, 정부는 성장률을 끌어내리지도 올리지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icef08@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