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박순애 전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 후임으로는 여러 인사들이 거론되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혼란스러운 상황을 정리하기 위해 교육 전문가가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있고, 복잡하게 꼬인 여러 사안을 풀기 위해서는 정치력도 갖춰야 한다는 다양한 목소리가 나온다.
18일 교육계에 따르면 김신호, 김재춘, 나승일 등 전 교육부 차관 등이 차기 교육부 장관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정치인 출신으로는 국회 교육위원장을 지낸 조해진 국민의힘 의원도 후보군으로 평가된다.
교육부는 윤석열 정부 출범 전부터 해체·축소론에 시달려왔다. 새 정부 초대 교육부 장관으로 지명됐던 김인철 후보가 공정성 논란에 휘말리며 낙마했고, 음주운전·논문 중복게재 등 논란 속에 취임했던 박 전 부총리는 설익은 교육정책으로 자진사퇴의 길을 걸어야 했다. 새 정부가 출범한 지 100일이 지났지만 교육부는 조용한 날이 없었다.
박 전 부총리 시절 교육계에서는 장관, 차관, 차관보 모두 교육 전문가가 아니기에 전문성 부족에 대한 우려가 특히 컸다. 결국 현장의 의견을 충분히 담지 못한 채 '만5세 초등학교 입학'을 발표해 논란이 벌어졌고, 이는 박 전 부총리 사퇴로까지 이어졌다. 이후 차기 교육 수장에는 교육 전문가를 임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욱 커졌다.
이렇기에 차기 장관 후보자로는 교육부 출신 관료들이 대거 거론되는 모습이다. 교육계에 몸을 담아왔던 만큼 교육계 전반에 대한 이해가 깔려있다는 것이 장점이 될 수 있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이전 정권에서 어떤 정책을 펼쳤고, 어떤 게 문제였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감이 있을 것이다. 안정적일 수는 있다"고 설명했다.
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치권 인사를 장관에 앉히는 방법도 거론되고 있다. 여야에서 모두 무난한 평가를 받고 있는 정치인을 장관에 지명한다면 임명까지 비교적 순조로울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또한 복잡하게 얽힌 여러 현안에 대해 정치력을 발휘해 풀어갈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된다. 한 교육부 관계자는 "이해관계가 복잡한 여러 현안이 있다. 교육을 잘 알면서도 이런 것을 뚫고 나갈 수 있는 정치력을 갖춘 분이 온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어떤 전문성을 갖춘 인사를 임명하는지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제대로 된 검증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인재풀도 보다 폭넓게 해서 이번에는 교육계를 잘 이끌 수 있는 사람을 앉혀야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교육계 관계자는 "지금은 시간을 두고 후보군을 넓혀 여러 인물을 살펴보고 공개적으로 의견도 물어봐야 한다"며 "이번에야말로 논란이 없을 제대로 된 사람을 장관에 임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yjr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