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를 인하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복수의 소식통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중국산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를 절반 이상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백악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가 대략 50%에서 65% 수준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앞서 중국의 보복관세에 맞서 대중관세를 145%로 상향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하원 중국전략경쟁특별위원회가 제안한 방안과 같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대한 위협 여부에 따라 관세를 차등 부과하는 방법도 고려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미국 하원 중국전략경쟁특별위원회는 지난해 말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 품목에 대해서는 35%의 관세를 미국의 전략적 이익과 관련된 품목에는 최소 10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과 합의해야 한다고 분명히 밝혔다"며 "관세 관련 결정은 대통령이 직접 내릴 것이며 그 외의 모든 것은 순수한 추측일 뿐"이라고 말했다.
WSJ의 이날 보도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 관세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대중 관세에 대해 "145%는 매우 높다"며 "(중국과) 협상을 하게 되면 상당히 내려갈 것이다. 그러나 제로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같은 날 JP모간이 워싱턴DC에서 비공개로 주최한 투자자 행사에 참석해 중국과의 무역 갈등이 머지않아 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은 관세 전쟁과 무역 전쟁에 승자가 없다고 일찍부터 지적했다"며 "(미국과) 대화의 문은 활짝 열려 있다"고 말했다.
yellowapoll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