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예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25% 관세 부과로 수입 자동차 한 대당 평균 8700달러(약 1260만 원)의 관세가 들 것이라는 추산치가 나왔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 연구 센터는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 전체의 제조 비용이 1077억 달러(약 156조 원)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포드, 제너럴 모터스(GM), 스텔란티스 등 미국 디트로이트 자동차 3대 제조사가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로 420억 달러(약 61조 원)의 제조 비용 증가를 겪을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로 자동차 제조사들은 생산 방식을 변경하고 있는데, 이 여파가 제조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는 분석이다.
일례로 GM은 인디애나 공장의 트럭 생산량을 늘렸고, 스텔란티스는 멕시코와 캐나다 공장의 생산을 일시 중단했다.
미국 자동차 연구센터는 "자동차 공급망은 세계적이고 복잡하며, 산업에 대한 25% 관세는 겉보기에 간단한 문제도 복잡하게 만든다"며 "자동차 제조업체와 공급업체는 종종 전 세계에 시설을 갖춘 다국적 기업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얼마나 많은 차량을 생산했는지 파악하기 어렵다"고 짚었다.
미국에 생산 공장이 있을 경우 대당 평균 4239달러(약 614만원)의 관세가, 미국 외에서 차량을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할 경우 대당 평균 8722달러(약 1265만 원)의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예상했다.
디트로이트 자동차 3대 제조사를 대표하는 미국 자동차정책위원회의 맷 블런트 회장은 성명에서 "이 연구는 25% 관세가 자동차 산업에 상당한 비용을 초래할 것임을 보여준다"며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인 포드, GM, 스텔란티스는 미국 자동차 생산량 증대라는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행정부와 지속적인 대화를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yeseu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