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부통령을 지낸 마이크 펜스가 트럼프 행정부의 최근 공격적인 관세 정책이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에 잠재적 위험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펜스 전 부통령은 9일(현지시간) 더 힐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내년 11월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에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트럼프의 임기가 좋은 출발을 했지만 광범위한 관세 부과는 잘못된 접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10% 기본관세와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에 우려를 표하며 "사람들이 트럼프 대통령을 다시 백악관으로 보낸 이유는 사람들이 트럼프-펜스 행정부 때의 정책으로 돌아가는 것을 보고 싶어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국민들이 미국 역사상 가장 큰 평시 증세에 해당할 수도 있는 데다 노동자 가정들과 크고 작은 기업들에게 고통을 안겨줄 수 있는 관세 정책에 투표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예고한 대로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관세율은 기본관세만 부과한 10%부터 최대 50%까지 책정됐다.
그러나 각국이 미국의 관세 조치에 강한 불만을 나타내고 경기 침체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10% 기본관세를 제외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했다. 다만 보복관세로 맞대응한 중국에 대해서는 관세율을 125%까지 인상했다.
펜스 전 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유예한 것에 대해 "동맹국들이 협상 테이블로 나올 것이라 확신한다. 그들은 테이블에 앉아 협상에 임할 것"이라며 "우리의 가장 중요한 무역 파트너와 동맹국에 부과되었던 관세가 90일간 유예된 것은 우리 가족을 포함한 수백만 미국 가정에 안도감을 주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펜스 전 부통령은 중국을 "미국이 직면한 가장 큰 경제적, 전략적 위협"이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에 대한 공격적인 접근 방식에 대해선 지지 의사를 밝히면서도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대통령은 관세를 미국 경제에 접근하는 데 드는 정확한 비용으로 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그러나 현실은 미국 기업이 세계 각국에서 수입하는 물품에 대한 관세를 부담하게 되고 그 비용은 결국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yellowapoll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