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글로벌 무역전쟁을 예고한 가운데 러시아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포탄을 피해 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공개했다. 관세율은 적대국과 동맹국을 가리지 않고 기본관세 10%를 최저로, 국가에 따라 최대 50%에 달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이번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다.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남태평양의 토켈라우(뉴질랜드령)와 북극권에 위치한 스발바르(노르웨이령) 같은 섬과 심지어 남인도양의 허드 및 맥도널드 제도 같은 무인도도 이번 관세 대상에 포함됐다.
이에 대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악시오스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는 미국의 제재로 인해 의미있는 무역이 사살상 중단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쿠바, 벨라루스, 북한도 기존 관세가 매우 높고 제재를 받고 있어 제외됐다"고 덧붙였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제외된 이유에 대해 "미국은 러시아 및 벨라루스와 무역을 하지 않기 때문이며 그들은 제재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미국과의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에서 서방 국가의 제재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달 흑해 휴전 발효 조건으로 농산물과 비료 수출에 대한 제재를 내걸었다.
그러나 농산물과 비료 수출 제재는 유럽연합(EU)의 승인이 필요한 사항으로 EU는 제재 해제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미국도 러시아에 대한 제재 해제에 적극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 휴전협상은 교착 상태에 머물고 있다.
이에 키릴 드미트리예프 러시아 국제협력특사가 미국을 방문해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특사와 회담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각에선 미국의 정치적 고려가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휴전 합의를 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산 석유를 수입하는 국가에 25% '2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를 했는데 이번 상호관세에선 러시아를 제외한 것은 모순된다는 이유에서다.
양국 간 교역도 여전히 이뤄지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의 지난해 교역 규모는 약 35억 달러를 기록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기 전인 2011년엔 약 350억 달러였다.
yellowapoll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