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정윤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북한 문제 해결에 있어 중국의 역할보다 러시아의 전략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전문가의 분석이 나왔다.
이호령 한국국방연구원(KIDA) 책임연구위원은 최근 '트럼프 행정부 2기의 미북관계 전망과 과제' 보고서에서 '중재자' 역할을 할 대상 변화와 그에 따른 "전략 환경 변화의 대비가 필요하다"라며 이같이 진단했다.
미국은 전통적으로 북한 문제 해결에 있어 중국의 '건설적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해 왔다. 이러한 인식은 바이든 행정부 때도 마찬가지였다.
이 연구위원은 '우크라이나 종전' '가자지구' '북한 핵 문제'는 각각 다른 지역의 문제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며 "실상을 들여다보면 북한은 군사적인 측면에서 세 가지 문제에 모두 직·간접적으로 연계돼 있다"라고 지적했다.
북러는 지난해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방북을 계기로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며 '준 군사동맹' 수준으로 양국 관계를 격상했다. 특히 북한은 해당 조약의 '유사시 지체 없는 자동 군사 개입' 조항에 근거해 러시아에 대규모 군대를 파견했다.

이 연구위원은 미국이 일련의 상황에서 '러시아를 활용한 북러 전략적 관계 이완→ 순차적 북중러의 전략적 관계 약화→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정·평화 보장'이라는 단계적 계산을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연구위원은 "미국은 이러한 전략적 셈법을 통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종전과 관련된 더 많은 협상 레버리지(지렛대)를 갖고자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북한은 러시아와의 전략적 관계 축소에 대비해 중국과의 전략적 관계를 재수립하려는 동기를 높이고자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위원은 "북미 간 대화 분위기 조성의 밑바탕에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단일 이슈보다는 국제 전략환경 구조 변화가 더 크게 작용한다"라며 "향후 북중러 간 또 다른 전략적 이합집산이 가져올 변화에 대비한 포괄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라고 제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기 임기를 시작하기 전부터 김 총비서와의 '친분'을 과시하며 대화 의지를 꾸준히 피력해 왔다.
다만 김 총비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있으며, '핵 대응 태세 강화' 기조를 이어가며 대미 강경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이에 일각에선 김 총비서가 트럼프 1기 때 북미정상회담 '노딜' 경험이 있는 만큼, 당분간 북미 대화에 거리를 두며 내부 결집 도모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한다.
yoong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