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1) 정은지 특파원 = 중국은 14일 스마트폰 등 일부 전자제품의 상호관세 제외 조치 등 미국의 관세 정책 변경에 대해 "관세를 남용해 남과 자신에게 해를 끼친다는 사실이 이미 증명됐고 앞으로도 계속 증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관세 전쟁과 무역 전쟁엔 승자가 없고 보호주의엔 출구가 없다"고 이같이 말했다.
린 대변인은 "미국이 극한 압박의 잘못된 방식을 포기하고 평등하고 상호 이익을 존중하는 기초 위에서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왕링쥔 해관총서 부서장은 "법에 따라 각종 대미국 반제 조치를 엄격히 시행해 국가 주권과 인민의 발전 이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왕 부서장은 "미국 정부의 과도한 관세 부과는 중미를 포함한 전 세계 무역에 불가피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중국은 즉시 필요한 대응 조치를 단호히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자국의 정당한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일 뿐 아니라 국제 무역 규칙과 국제 정의를 수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중국은 미국이 티베트(시짱) 문제와 관련된 중국 당국자의 비자를 제한하는 조치에 맞불 조치를 발표했다.
린 대변인은 "시짱 사무는 순전히 중국 내정에 속하고, 미국이 시짱 문제를 빌어 중국 당국자들에 대한 비자 제한을 남용한 것은 국제법을 엄중히 위반한 것"이라며 "대외관계법 등에 따라 시짱 문제에서 악랄함을 보인 미국 인사들에 대해 대등하게 비자 제한 조치를 취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린 대변인은 "시짱은 개방된 곳이고 중국은 외국의 우호적인 인사가 중국 시짱 지역에서 방문·여행·사업하는 것을 환영한다"며 "우리는 어떤 국가나 인사가 이른바 인권·종교·문화를 빌미로 시짱 문제에 간섭하는 것에 반대하고, 다른 마음을 먹은 인사가 시짱 방문을 명목으로 방해·파괴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했다.
앞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티베트 지역 외국인 접근 정책에 관여한 중국 당국자들을 상대로 추가 비자 제한 조치를 발표한 바 있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떤 당국자가 비자 제한 대상에 올랐는지에 대해서는 공개하지 않았다.
ejjung@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