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1) 정은지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0~50% 규모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자 중국 관영언론은 "미국의 관세 부과가 역효과를 낳아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에게 더 높은 부담을 안길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이번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응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3일 "트럼프가 광범위한 범위를 대상으로 최소 10%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며 "일부 무역 파트너에게는 '최저 기준 관세'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고 말했다.
신화통신은 외신 등을 인용해 "상호관세 정책은 무역 파트너에게 충격을 줄 뿐 아니라 미국 소비자의 이익을 해치고 미국 자체의 경제 성장을 저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도 "미국의 상호관세가 발표되면 광범위한 반대와 시장 불확실성을 촉발한 것"이라며 많은 국가들이 보복 조치를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파스칼 라미 전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은 글로벌타임스에 "트럼프의 관세조치는 경제에 대한 잘못된 가정과 잘못된 진단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국내 갈등을 세계 무역을 비난하는 방식으로 해소하려 하고 있다"며 "부정적인 결과만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가오링원 중국 사회과학원 연구원도 "관세 인상은 실제로 글로벌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릴 수 있고 미국과 다른 국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관세 인상 후 미국 국내 생산자들이 가격을 인상하게 되면 소비자 권리가 개선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류웨이둥 중국 사회과학원 미국연구소 연구원도 "관세 부과 조치를 취하면 외국 제품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미국이 생각하는 것 만큼 미국의 발전에 많은 이익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며 "관세는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현지 기업의 혁신을 제한하며 다른 나라의 보복 가능성으로 미국 수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미국이 상호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중국이 맞대응 조치를 취할 것으로 관측된다. 류웨이둥은 "중국은 충분한 기술적·산업적·전략적으로 대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별로 10~50% 사이의 관세율을 발표했다. 주요 국가별 관세율은 중국 34%, 유럽연합(EU) 20%, 일본 24%, 베트남 46%, 대만 32%, 인도 26% 등이다. 한국은 25%다. 중국은 이미 트럼프 취임 후 20%의 추가 관세(10+10%)를 부과받고 있어 34%를 더해 추가 관세가 54%로 확대될 전망이다.
백악관은 10%의 관세는 5일 0시 1분부터, 더 높은 국가별 관세는 9일 0시 1분부터 부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ejjung@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