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수백만 명이 세 사람 때문에 목숨을 잃었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에게 전쟁 책임을 돌렸다. 특히 젤렌스키 대통령을 향해 '전쟁을 시작했다'는 표현을 다시 사용하는 등 비난 수위를 높였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나이브 부켈레 엘 살바도르 대통령과의 백악관 회담 자리에서 "(전쟁에) 푸틴 대통령이 가장 책임이 크다고 치자"며 "그러나 자기가 무슨 짓(what the hell)을 하는지 꿈에도 몰랐던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두 번째, 그 다음은 젤렌스키 대통령"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젤렌스키 대통령에 대한 비난을 이어갔다.
그는 "젤렌스키 대통령은 언제나 미사일을 사는 데 혈안이 되어 있다"며 "전쟁이란 이길 수 있을 때만 시작하는 것"이라고 공격했다.
그러면서 "당신보다 20배는 덩치가 큰 사람 상대로 전쟁을 시작해놓고(start a war) 누군가가 미사일을 손에 쥐여주길 바라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종전을 위한 러시아·우크라이나와의 3자 협상을 두고는 "조만간 정말 좋은 제안들이 있을 것"이라며 "나는 대량 살인을 멈추고 싶고, 우리가 그런 길로 잘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2월 28일 이례적인 '백악관 충돌' 이후 젤렌스키 대통령을 향해 "전쟁을 시작했다"거나 "독재자"라는 등의 근거 없는 비난을 가하던 트럼프는 지난 달 25일 러시아·우크라이나가 흑해 해상에서의 휴전에 합의하는 등 종전 협상에 진전이 보이자 한동안 비난을 삼갔다.
지난 주에는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미국에 방문해 광물 협정 체결을 위한 논의를 이어갔다. 트럼프는 우크라이나가 전쟁 기간 미국으로부터 받은 재정 지원 등에 대한 보상으로 5000억 달러(약 720조원) 규모의 희토류를 미국에 제공할 것을 주장해왔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서로의 에너지 기반시설은 물론 흑해 해상에서의 휴전에 원론적으로 합의했으나, 러시아가 제재 해제를 선결 조건으로 내세우며 종전 협상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이란과의 핵 협상을 두고는 "이란은 절대 핵을 보유할 수 없다"며 협상이 잘 되지 않을 경우 공습 등 군사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란은 지난 2015년 미국·영국·중국·프랑스·독일·러시아와 핵 합의를 체결해 우라늄 농축도를 3.67% 이하로 제한하고 탄도미사일 개발을 8년간 중단하는 조건으로 경제 제재를 해제 받은 바 있다.
하지만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가 핵 합의에서 일방적으로 탈퇴한 뒤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며 사실상 핵 합의가 무산됐고, 이란은 우라늄 농축도를 높이기 시작했다.
재집권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첫 임기 때 시행했던 '최대 압박'(Maximum Pressure) 전략을 다시 가동하며 새로운 핵 협상을 이란에 압박해왔다.
이란과 미국은 12일 오만에서 첫 번째 회담을 가졌으며 19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두 번째 만남을 가질 예정이다.
alicemunr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