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정지윤 기자 = 미국이 중국산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완화할 것이라는 보도에 백악관은 아직 결정된 사안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AFP통신에 따르면 쿠시 데사이 백악관 대변인은 24일(현지시간) 기자들에게 "자동차 관세 변경에 관해 백악관은 어떤 최종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데사이 대변인은 여러 관세가 중복 적용되는 문제를 간소화(streamlining)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하며 자동차 부품은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되는 불법 펜타닐 관련 관세와 철강 및 알루미늄 품목별 관세에서 제외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중국산 수입품에는 20%의 이른바 '펜타닐' 관세가 전면적으로 부과되고 있으며 이에 더해 125%의 상호관세가 부과됐다. 외국산 자동차·철강 및 알루미늄은 125%의 상호관세는 적용받지 않으며 따로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다.
만약 트럼프 행정부가 FT의 보도대로 관세를 조정한다면 중국산 자동차 부품은 20%의 펜타닐 관세와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의 일환으로 일부 자동차 부품에 부과되고 있는 25% 관세를 면제받게 된다.
이는 관세를 분리 적용(destacking)하는 것으로, 실현 될 시 중국산 자동차부품은 외국산 수입차에 부과되고 있는 25% 관세와 내달 3일 발효되는 자동차 부품에 대한 별도의 25% 관세만 적용받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일부 자동차 회사들을 도와주기 위한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말해 관세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무역 정책과 관련해 대통령이 누구의 의견을 듣는지에 대한 질문에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팀 외에 "재계 등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며 독일의 주요 자동차 회사 대표들도 트럼프 행정부와 통화했다고 설명했다.
stopyu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