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83일 만에 K리그1 홈 경기…'축구 도시' 안양이 들썩인다

8일 김천 상대로 K리그1 홈 경기…2004년 안양LG 떠난 후 처음
예매로만 티켓 1만장 팔려…구단은 가변석 확대 등 새단장

본문 이미지 -  안양종합운동장 앞에서 응원을 펼치는 FC안양 팬들(안양 제공)
안양종합운동장 앞에서 응원을 펼치는 FC안양 팬들(안양 제공)

(서울=뉴스1) 안영준 기자 = 7783일 만에 열리는 프로축구 1부리그 경기를 앞두고 '축구 도시' 안양이 뜨겁게 달아오른다.

안양은 8일 오후 4시 30분 안양종합운동장에서 김천 상무를 상대로 하나은행 K리그1 2025 4라운드 홈 경기를 치른다.

안양에서 무려 21년 3개월 28일 만에 열리는 1부리그 경기다.

1996년부터 2003년까지 안양종합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던 안양LG가 2003년 11월 16일 포항 스틸러스와의 시즌 최종전 홈 경기를 마지막으로 안양을 떠났다. 안양LG는 2004년부터 FC서울이라는 이름으로 서울월드컵경기장에 새롭게 둥지를 틀었다.

이후 2013년 시민구단으로 새롭게 창단한 FC안양이 긴 시간 2부리그에 소속돼 있다가 올해 처음 K리그1로 승격했고, 4라운드 홈 경기를 통해 안양종합운동장에서 다시 1부리그 경기가 열리게 됐다.

'축구 도시'라 불릴 만큼 열정적 팬들이 많기로 유명한 안양이기에 이날 경기는 역사적이고 감격적인 날로 각인될 전망이다.

본문 이미지 -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하나은행 K리그1 2025 2라운드 FC서울과 FC안양의 경기에서 FC안양 팬들이 응원전을 펼치고 있다. 2025.2.22/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22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하나은행 K리그1 2025 2라운드 FC서울과 FC안양의 경기에서 FC안양 팬들이 응원전을 펼치고 있다. 2025.2.22/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안양 팬들의 관심은 당연히 뜨겁다. 예매 오픈 30초 만에 가변석 3840석이 매진됐고, 이후로도 빠른 속도로 티켓이 팔려나갔다.

안양 관계자는 "전체 1만3500장 중 1만장이 예매됐다. 원정석을 제외하면 매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모처럼 1부 경기가 열리는 만큼 문의도 폭증했다. 관계자는 "팬들 문의는 (2부리그 시절과 비교해)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예매 방법을 물어보거나, 매진된 가변석 티켓을 꼭 구하고 싶다는 전화 등이 구단 사무실로 계속 걸려 온다"고 귀띔했다. 이날 경기장을 찾을 취재기자만도 20명이 넘는 등 미디어 관심도 뜨겁다.

구단 역시 1부리그 경기를 치를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안양은 골대 뒤 응원 가변석을 기존 538석에서 419석을 늘려 957석으로 증축했다.

이 밖에 LED 광고 보드 도입, 오프라인 MD 스토어 확장 이전, 기자석과 기자회견실 리모델링 등으로 새 단장했다.

한편 안양은 개막전서 디펜딩 챔피언 울산HD를 잡으며 파란을 일으켰으나, 이후 2연패를 당하며 상승세는 다소 꺾인 상태다. 1승2패(승점 3)로 12개 팀 중 10위에 자리해 있다. 안양은 외인 골잡이 모따를 앞세워 구단 1부리그 홈 첫 승에 도전한다.

'군팀' 김천은 1승1무1패(승점 4)로 7위를 달리고 있다. 1골 1도움을 기록 중인 이동경을 포함해 유강현(1골)과 원기종(1골) 등 K리그1에 잔뼈가 굵은 선수들을 앞세워 상위권 도약을 노린다.

본문 이미지 - 김천 상무의 에이스 이동경(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김천 상무의 에이스 이동경(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tree@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