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신윤하 기자 =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은 27일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과 관련해 희생자의 명복을 빌며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희생되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들에게도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경실련은 "더 이상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와 지자체는 모든 장비와 인력을 동원하여 산불을 최대한 빨리 진화하기 위해 노력하며, 주민들이 사전에 대피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주길 당부드린다"며 "추후 정부와 국회는 이번 산불 재난의 피해복구를 위한 예산과 지원방안을 마련하여 산불 진화 이후를 대비하고 산불 예방관리를 강화하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전날 성명문을 통해 "진화 작업에 투입된 많은 공무원과 진화대원들이 고립당해 사망사고까지 발생해 비통함을 금할 수 없다"며 "산림청과 경남도로 구성된 현장지휘본부가 초기 진화에 무리하게 현장 인원을 투입한 것이 아닌가 하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위험한 재난 현장에도 인권과 생명권은 안중에 없이 인력을 동원하는 정부의 관행이 소중한 생명을 앗아갔다"며 "산불 진화 과정에서 노동자가 희생되지 않도록 지휘체계를 정비해야 하고 제대로 된 보호구 지급, 훈련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도 "갑작스러운 재난에 집을 떠나온 이재민들이 겪을 어려움에 대해 세심한 배려와 적극적 지원이 절실하다"며 "정부와 지자체, 국회가 산불재난 피해자들을 지원하고 삶터를 복구하는 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대규모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인간의 힘으로 다 예방하거나 막을 수는 없지만 정부는 총력을 다해 산불을 진압하고 더 이상의 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돌아가신 분 중 세 분은 예방진화대로 5~7개월 계약직에 사전교육은 10시간뿐이었고 안전용구도 미착용하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며 "산불 진화 및 재난 대응 시스템, 산불 진화 인력의 안전 확보 방안 등을 철저히 점검해 다시는 이와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2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경남 산청·하동, 경북 의성, 울산 울주 등 영남권을 중심으로 지난 21일부터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이날 낮 12시 기준 전국에서 26명이 사망하고 30명이 다치는 등 인명 피해가 속출했다.
sinjenny97@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