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임시공휴일에 2차 계엄이라고"?…혼란 틈 타 다시 고개 든 괴물

"쉬라고 해도 찝찝해", "2차 계엄령" 음모론도 등장
괴담 같던 계엄령이 현실로…"사회적 불신 심각" 분석

전국 대부분 지방에 한파 특보가 발효된 10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탄핵 반대 집회를 하고 있다. 2025.1.10/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전국 대부분 지방에 한파 특보가 발효된 10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탄핵 반대 집회를 하고 있다. 2025.1.10/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서울=뉴스1) 홍유진 기자 = 계엄·탄핵 정국이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음모론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이번엔 2주 앞으로 다가온 설 연휴가 주제로 떠올랐다. 정부·여당이 27일을 임시공휴일을 지정한 데는 '꿍꿍이가 있다'는 주장과 함께 '2차 계엄령' 가능성까지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혼탁한 정국 속에서 불확실성이 커지며 음모론이 확산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괴담으로만 치부됐던 '12·3 비상계엄' 사태가 현실이 되면서 사회적 불신이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쉬라고 해도 찝찝", "2차 계엄령" 음모론 등장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부와 국민의힘은 지난 8일 설 연휴 전날인 오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했다. 연휴 기간을 늘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취지다.

대다수 직장인은 늘어난 휴일에 반색을 표했지만 일각에서는 의심의 시선을 감추지 않았다. 정부·여당이 국면 전환을 꾀하기 위해 임시 공휴일을 지정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부터 '2차 계엄령' 관련 음모론까지 등장했다.

X(옛 트위터) 등 온라인상에는 '쉬라고 해도 괜히 찝찝하다', '임시 공휴일에 2차 계엄령 내리는 것 아니냐', '국회가 비는 동안 내란 공조범들이 도발하는 것 아니냐' 등의 반응이 잇따랐다.

지난해 10월 1일 국군의날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됐을 때도 비슷한 음모론이 제기됐었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국군의날 핑계로 계엄을?', '사람들 놀 때 계엄 때리려고 하나' 등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국군의날이 조선총독부 설립일과 겹친다며 '친일 정부'라는 비판까지 나왔다.

괴담 같던 계엄령이 현실로…"사회적 불신 심각"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직무 정지 상태라는 점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설 연휴 기간 2차 계엄령은 음모론에 불과하다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군 통수권이 최상목 권한대행으로 옮겨간 상태에서 또다시 계엄이 일어날 가능성은 작다는 것이다.

한 군사 전문가는 "대통령이 없는데 권한 대행이 계엄을 일으킬 수도 없지 않느냐"며 "2차 계엄령은 말도 안 되는 헛소문이자 유언비어"라고 지적했다. 이어 "작년 국군의날과 계엄 준비설도 전혀 연관성이 없는 얘기"라고 선을 그었다.

그럼에도 음모론이 사그라지지 않는 건 불안과 불신이 일상화된 사회 분위기 때문이다. 사회가 복잡하고 불안이 클수록 음모론이 기지개를 켜기 쉽다. 음모론은 단순하지만 반증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심리적 불안감을 깊게 파고든다.

최근 탄핵 정국에서 가짜뉴스로 인해 소모적인 진실 공방이 벌어진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진보·보수 진영은 너나 할 것 없이 입맛에 맞는 정보만 골라 각종 의혹을 제기했다. 극심해진 '정치 양극화'가 음모론을 부추기는 모양새다.

윤석열 대통령 도피설이 대표적이다. 도피설은 윤 대통령이 관저에 머무는 모습이 한 매체의 카메라에 포착되며 사그라들었다. 또 탄핵 집회에서 시위대의 폭행으로 경찰관이 혼수상태가 됐다는 가짜뉴스가 돌기도 했다. 이같은 뉴스는 정치인들의 입을 타고 급속도로 확산했다. 연일 계속되는 탄핵 찬반 집회에서는 "중국과 북한이 부정선거에 개입했다", "이재명은 간첩이다" 등의 허위 주장이 무분별하게 퍼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회적 신뢰가 부족한 우리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는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괴담 취급을 받던 계엄령이 현실이 된 탓도 크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우리 사회에 신뢰 수준이 더욱 떨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비합리적이라고 생각했던 일(계엄령)이 실제로 일어나면서 비합리적인 음모론이 더 탄력을 받고 있는 양상"이라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사회적 신뢰가 낮아진 것이 음모론의 가장 큰 구조적 원인"이라며 "정치가 양극화하면서 자기 진영에 맞는 의견만 받아들이는 확증편향도 영향을 끼쳤다"고 짚었다.

cyma@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