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스마트시티로 도시문제 해결…태국·영국 등 실증사업 5개국 선정

국토부 K-City 네트워크 사업 공모 결과 발표

본문 이미지 - 국토교통부 K-City 네트워크 해외실증형 사업 사례.(국토교통부 제공)
국토교통부 K-City 네트워크 해외실증형 사업 사례.(국토교통부 제공)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한국의 스마트시티 기술이 세계 각국의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실증사업에 들어간다.

국토교통부는 'K-City 네트워크 2025 해외실증형 사업' 공모 결과, 5개국 6개 도시를 최종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선정된 도시는 태국 콘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이탈리아 밀라노·베로나, 영국 버밍엄, 페루 리마다. 이들 도시에서 총 23억 원 규모의 현지 실증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K-City 네트워크'는 스마트시티 분야의 혁신 기술을 해외 도시의 여건에 맞춰 실증함으로써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하는 국제협력형 사업이다.

올해 선정된 도시는 교통 혼잡, 쓰레기 수거, 시민 안전, 재난 대응 등 다양한 도시 문제를 안고 있다. 국내 기업은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지역 맞춤형 스마트 솔루션을 제공하게 된다.

태국 콘캔에서는 도심에 설치된 CCTV의 실시간 영상을 AI로 분석해 이상 상황을 탐지하고 즉시 알리는 시스템을 실증한다. 이를 통해 재난이나 범죄 발생 시 경찰의 신속한 대응을 지원한다.

교통 혼잡이 심각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는 스마트 파킹 모바일 앱을 활용해 AI 기반의 주차 공간 확인 시스템을 실증한다. 원활한 주차와 교통 체증 완화를 기대하고 있다.

이탈리아 밀라노에서는 급증하는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IoT 기반 적재량 감지 센서와 압축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쓰레기통을 도심에 설치하고, 통합 모니터링 플랫폼을 통해 효율적인 수거 시스템을 실증한다. 이는 유럽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삼을 계획이다.

이외에도 영국 버밍엄에서는 교통약자의 무장애 보행을 지원하는 AR 기반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이탈리아 베로나에서는 AI 기반의 스마트 교통 흐름 개선 솔루션을, 페루 리마에서는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 솔루션을 실증한다.

국토부는 이번 실증사업을 통해 한국형 스마트 기술의 우수성을 해외 현장에서 직접 입증하고, 수출과 연계된 지속가능한 도시 협력 모델을 확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현지 도시의 실질적인 수요에 기반한 시범 구축과 운영을 통해 국내 기업 기술의 실효성을 검증하고, 수요처와의 협력 관계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dk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