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2집무실·세종의사당'…행복청 "세종을 워싱턴 DC처럼"

2025년 업무 추진계획 브리핑…국가 랜드마크 공간 조성
3000가구 이상 주택 공급 목표…교통체계도 재정비

본문 이미지 - 2025년 행복도시 주요 사업 개념도.(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제공)
2025년 행복도시 주요 사업 개념도.(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제공)

(세종=뉴스1) 김동규 기자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이 세종시를 한국의 워싱턴DC처럼 만들기 위한 밑그림 그리기에 본격 착수한다.

행복청은 21일 올해 주요 업무 추진계획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 제2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이 포함된 '세종 국가상징구역'을 국가적인 랜드마크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국제공모에 역량을 집중한다고 밝혔다.

올해 행복청은 '균형발전을 선도하고, 지역성장을 견인하는 실질적 행정수도 완성'을 목표로 잡았다. 이를 위해 도시의 미래성장동력을 확충하고 정주여건을 지속 개선해 도시 완성도를 더 높일 예정이다.

세종국가상징구역 국제공모…실질적 행정수도 기반 강화

행복청은 대통령 제2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이 위치하는 핵심구역에 대한 도시설계와 대통령 제2집무실 건축설계를 통합한 국제공모를 통해 ‘세종국가상징구역’의 구체적 모습을 그린다. 또 국회와 긴밀히 협력해 국회세종의사당 사업 계획 확정을 적극 뒷받침할 방침이다.

국제공모에 당선된 세종국가상징구역을 중심으로 박물관단지, 수목원, 도서관 등 핵심 문화시설, 호수·중앙공원을 유기적으로 잇는 ‘S-1 생활권 마스터플랜’을 수립한다. 금강 횡단교량 신설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하고, 교통인프라 단계적 확대, BRT 신규노선 개발, 국지도 96호선 기본계획 수립 등 교통체계를 다시 정비한다.

실질적 행정수도로서 기반 강화를 위해 행정, 치안, 사법기능을 확충하고 동반성장을 위한 광역협력을 활성화한다. 행복도시 건설 경험을 활용해 K-도시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등 국제 협력에도 힘쓸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세종지방법원, 검찰청의 사업계획을 확정해 건립을 본격 추진한다. 9월에는 국가재난대응시설을 준공해 대규모 재난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본문 이미지 - 2025년 행복도시 주요사업 인포그래픽.(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제공)
2025년 행복도시 주요사업 인포그래픽.(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제공)

첨단산업 선도기업 유치 적극추진…대학 캠퍼스도 조성

행복청은 올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지역 성장을 견인할 예정이다. 맞춤형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첨단산업 선도기업 유치를 적극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세종테크노벨리 신규 투자수요를 발굴하고, 집현전 미래캠퍼스를 기업형 R&D(연구개발) 복합타운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미래캠퍼스의 분양형 캠퍼스에는 충남대와 공주대가 상반기 중 착공할 예정이며, 작년 9월 개교한 임대형 공동캠퍼스는 입주대학 협의체를 운영하고 인근 산업·연구기관과 거버넌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공유, 융합 설립 목적에 맞게 공동학술대회, 전시회 개최 등 다양한 연계를 추진한다. 국내외 유수 대학과의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신규대학 유치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문화, 관광, MICE 산업을 다각적으로 발전시켜 도시의 활력을 지속해서 더해나갈 계획이다.

실수요자를 위한 주택공급 안정화와 다양화도 진행한다. 행복청은 올해 합강동에 분양주택과 다솜동, 산울동에 임대주택 등 약 3000가구 이상의 주택 공급을 예상한다. 세부적인 주택공급계획은 2월 중 발표 예정이다.

청년층을 위한 임대주택 등 주거안정방안을 마련하고, 초고령사회 변화에 대비한 ‘행복도시형 시니어타운’ 조성을 위해 올해 중 민간사업자 공모에 나선다.

교통 부문에서는 제4차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을 중점 추진한다. 또 전 연령층의 평생학습과 직업체험을 위한 평생교육원이 9월 개원하고, 집현동 복합커뮤니티센터가 11월 준공 예정이다.

김형렬 행복청장은 "국가상징구역은 전례가 없는 역사적인 프로젝트로 좋은 건축물과 공간을 조성하는 수준을 넘어 시대정신과 미래방향을 보여줄 수 있도록 신중하게 추진해 나가겠다"며 "올해는 행복도시 건설 3단계 도시완성단계의 중간평가를 해보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간의 부족한 부분을 점검·보완해 지속가능한 성장동력과 모범적인 정주여건을 갖춘 지역균형발전의 거점도시가 될 수 있도록 도시 완성도를 더욱 높여 가겠다"고 덧붙였다.

dk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