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예원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선고된 4일 우리 군은 주요 지휘관 회의를 열고 방위태세를 강화하는 등 만일의 사태를 염두에 두고 긴밀하게 대응했다. 훈령에 따라 국방부와 각 군에 걸린 윤 대통령의 사진도 이날 중으로 철거한다.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등에 따르면 군은 탄핵 선고 전날인 3일부터 지금까지 주요 지휘관들을 정위치 상태에서 대기시키고 정찰기 운용을 확대하는 등 감시를 강화했다. 선고 전후 혼란스러운 정국을 틈탄 군사 도발을 막고 상황을 수습하기 위한 대응으로 해석된다.
국방부와 군 당국은 혹시 모를 비상사태에 대비해 현행 작전을 제외한 모든 부대 활동을 4일에 한해서 영내로 전환하도록 하는 지침도 내렸다고 설명했다.
연습·훈련 등 영외 활동이 진행될 경우 불필요한 접촉이 발생할 수 있어 내린 조치지만, 불가피한 경우 장성급 지휘관의 판단 하에 영외 활동 여부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게 국방부의 설명이다. 다만 군 장병들의 외출이나 휴가는 제한 없이 정상적으로 시행됐다.
오전 11시 22분 윤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파면 선고가 나온 후 국방부 및 군 당국은 윤 대통령의 사진 철수작업에 착수했다.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한미연합군사령부, 육·해·공군 회의실 등에 게시된 사진이 그 대상이다.
국방부 부대관리훈령에 따르면 대통령 임기를 마치거나 직이 상실될 경우 전직 대통령의 사진은 각 군 지휘관 책임하에 새절 또는 소각 조치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부대별로 각 지휘관들이 훈령에 따라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선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가 진행됐다.
회의는 국방부 실·국장 등 주요 직위자가 대면 참석, 합동참모본부(합참) 의장 및 참모총장 등 각 군 주요 직위자가 화상으로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회의에선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파면 선고 이후 혼란한 대내외적 상황에 대비하고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확고한 대북 군사 대비태세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장성급 지휘관 및 부서장들에겐 각 군 대비태세를 철저하게 유지하되, 군사, 감찰, 안전 등 제대별 가용 조직을 통합 운용해 취약점을 집중 점검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
김 직무대행은 "정치적 중립 의무를 엄정히 준수한 가운데 계획된 작전 활동 및 훈련을 차질 없이 시행할 것"이라며 "북한이 예상치 못한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에 대비해 한미 연합 방위 태세를 굳건히 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kimyewo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