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O소득' 앞세운 김경수·김동연…이재명은 '기본소득' 후순위로

김경수 '전국민 중위소득 40% 보장'…김동연 '기회소득'
이재명 기본소득 언급 자제 '성장' 방점…"순위 밀릴 수밖에"

본문 이미지 -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한재준 기자 =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인 김경수·김동연 후보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현금성 지원 정책을 공약으로 들고 나왔다. 유력주자인 이재명 후보의 '기본소득'을 견제하기 위함인데 정작 이 후보는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와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김경수·김동연 후보 모두 대선 공약으로 저소득층에 대한 현금성 지원 정책을 내걸고 있다.

본문 이미지 -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교육·사회·정치·외교·안보·국방 분야 2차 정책발표에 참석하고 있다. 2025.4.2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교육·사회·정치·외교·안보·국방 분야 2차 정책발표에 참석하고 있다. 2025.4.2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전 국민에 중위소득 40% 보장…일할수록 전체 소득↑

김경수 후보는 국민 기본생활보장제도를 주요 공약으로 발표했다. 모든 국민이 최소한 중위소득 40% 수준의 삶은 영위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다.

제도의 핵심은 저소득층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을 지속하면서도 근로 유인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중위소득 100% 미만 국민에게 지원금을 주되 근로소득이 늘어날 수록 지원금은 줄어들지만 전체 소득은 오르도록 설계했다.

소득이 전혀 없다면 중위소득 40% 수준의 소득을 보장받을 수 있고, 소득이 있다면 지원금에서 전체 소득의 40%를 차감한 금액을 지원받게 된다.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만큼 지원하자는 것으로 보편적 복지 제도인 이 후보의 '기본소득'과 차별화했다.

김 후보는 전날(21일) 기자회견에서 "산업화를 이끈 세대가 폐지 줍는 현실, 갑작스러운 위기로 인해 극단적 선택을 하는 가족이 다시는 생기지 않도록 이제는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며 "중위소득 40%의 최저소득을 모든 국민에게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본문 이미지 -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모두의 성평등·다시 만난 세계' 여성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5.4.2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모두의 성평등·다시 만난 세계' 여성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5.4.2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인정 못 받는 사회적 가치에 한시적 지원 '기회소득'

경기도지사였던 이 후보의 후임 도지사인 김동연 후보는 '기회 소득'으로 'OO소득 경쟁'에 참전했다.

기회소득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지만 시장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특정 국민에게 공공이 보상을 하자는 개념으로, 김동연 후보가 경기도에서 실시하고 있는 제도다.

장애인이나 돌봄 종사자, 예술인, 체육인 등을 대상으로 현금성 지원을 하는 것으로 이 후보, 김경수 후보의 정책과 달리 한시적이라는 게 가장 큰 차이점이다.

김동연 후보는 기회소득에 대해 "그냥 주는 게 아니고 사회의 가치 창출에 참여해야 하는 것"이라며 "기본은 누구에게나 무차별하게 주는 거다. 어떻게 보면 포퓰리즘일 수 있다"고 이 후보를 겨냥하기도 했다.

김동연 후보 캠프 관계자는 "기회소득은 이미 경기도에서 시행 중인 정책이기 때문에 범위를 더 넓혀 국가 정책으로 실행할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본문 이미지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미소를 짓고 있다. 2025.4.2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선 후보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에서 미소를 짓고 있다. 2025.4.2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기본소득' 거리 두는 이재명…특정 분야 한정할 듯

김경수·김동연 후보가 현금성 지원책으로 공세에 나섰지만 정작 이 후보는 자신의 대표적인 정책인 '기본소득'에 대한 언급을 꺼리고 있다.

지난 대선과 달리 이번에는 모든 정책 공약이 '성장'에 방점을 찍은 만큼 분배 정책이 후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기본소득은 막대한 재원이 필요해 경제성장률이 추락하는 지금 실행하기 어려운 정책이라는 현실적인 판단도 반영됐다.

앞서 이 후보는 영남권 순회경선 직후 '기본소득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는 이유가 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말을 하지 않은 게 없어진 건 아니다"라고 즉답을 피해 가기도 했다.

실제로 캠프에서도 기본소득 정책을 적극적으로 내세우지 않고 있다. 이번 대선 공약에 기본소득이 포함되겠지만 특정 집단에 대한 '타깃형 기본소득'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이 후보 캠프 핵심관계자는 뉴스1과 통화에서 "지금은 성장과 회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본소득은 후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다"며 "향후 정책으로 발표할 예정이지만 아직까진 구체적으로 정리해 놓은 상태는 아니다"고 말했다.

hanantway@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