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조현기 기자 =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윤심'(尹心)에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를 외치던 주자들의 분위기도 바뀌었다. 당내 경선 레이스가 시작되면서 '탄핵 정국'에서 '대선 정국'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이 시작됐으나 후보들의 지지율은 박스권에 갇힌 채 큰 변화가 없는 상태다. 당내 중도 성향 후보들의 불출마로 부동표를 흡수해야 승리하는 경선 구도가 만들어졌다.
보수 지지층들도 본선에서 승리할 후보를 만들어 내기 위해 윤 전 대통령과 단절 후 중도확장이라는 대선 승리 전략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홍준표 후보는 전날(16일) KBS와 인터뷰에서 "이번 대선은 홍준표 대선이다. 윤석열 대선이 아니다"라며 "제가 만들려는 세상은 윤석열 정권과 전혀 다른 새로운 나라"라고 강조했다.
홍 캠프 비서실장을 맡고 있는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YTN라디오에서 "윤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 승리를 위해 사저 정치라든지 이런 부분은 가급적 절제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대표적인 반탄 주자인 나 후보도 이날 오전 BBS 라디오와 인터뷰에서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을 묻는 질문에 "새로운 대선을 얘기하는데 윤 전 대통령을 너무 내세우는 것도 안 좋고, 윤 전 대통령이 자꾸 언급되는 것 자체가 과연 맞을까 이런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탄핵 정국 동안 윤심(尹心)을 외치던 이들이 조기에 메시지 전환에 나선 이유는 짧은 선거기간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경선 과정에서 보수 강경층에 무게가 쏠린 메시지를 냈다가 본선에서 급작스럽게 중도층을 겨냥한 메시지를 내기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하다는 해석이다. 경선도 본선처럼 치러야 승산이 있단 것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뉴스1과 통화에서 "선거 기간이 짧은 조기 대선으로 인해 사실상 경선이 본선 예비고사 성격으로 본선 느낌으로 치러지고 있다"며 "경선 과정에서 중도 표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또 이들의 윤심 거리두기 변화에는 박스권에 갇힌 지지율과 당내 중도 성향 후보들의 불출마 선언이 영향을 미쳤단 분석도 함께 나오고 있다. 중도 확장성이 있다고 평가받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승민 전 의원은 이번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불참했다.
이런 상황 속 현재 국민의힘 후보들은 누구도 압도적인 지지율을 얻지 못하는 형국이다. 결국 이를 돌파해 1강(强)으로 우뚝 솟기 위해선 중도층의 표심이 필요한 상황이다. 보수 강경층 입장에서도 현실적으로 대선 승리를 위해선 반탄 성향 후보들의 변화된 메시지에도 전략적인 인내를 할 수 있다는 해석도 함께 제기됐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현재 박스권에 갇힌 후보들이 나갈 출구는 결국 중도층"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최근 중도 확장성이 있는 오세훈·유승민이 출마하지 않았고 이들의 표심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에 윤심 거리두기는 궤를 같이하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박 평론가는 "친윤·반탄 지지자들도 결국 경선에서 1등이 되고 본선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중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며 "이런 부분을 고려해 반탄 주자들도 전략적으로 윤 대통령과 거리두기를 선택했다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choh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