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한재준 기자 = 헌법재판소가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잡으면서 여야 정치권에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여당은 탄핵소추안 기각을 희망했고, 야당은 내란 상황을 종식하기 위한 방법은 파면 뿐이라고 주장했다.
헌법재판소는 오는 4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연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이후 122일 만에 선고기일이 잡힌 셈이다.

야권은 헌재의 선고 소식을 접하자 마자 일제히 파면을 촉구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헌재의 주인인 국민의 명령에 따라 4월 4일에 선고하게 된 것을 그나마 다행으로 생각한다"며 "헌재는 내란 상황을 진압하고, 종식할 수 있는 최고의 판결은 의심 없는 내란수괴 윤석열의 파면 뿐이라는 것을 분명하게 국민 앞에 고하는 바"라고 했다.
이어 "여덟 분의 헌법재판관은 내란수괴 윤석열을 파면함으로써 민주주의 위기, 민생과 경제 위기, 안보와 평화의 위기를 반드시 해소해 줄 것을 국민과 함께 기대하고 명령한다"고 덧붙였다.
김보협 조국혁신당 수석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내란수괴 윤석열 파면 선고는 민주헌정 수호이며 대한민국을 살리는 길이다. 국민의 명령"이라며 "헌법재판관들은 전원일치 의견으로 온 국민이 바라는 '주문 피청구인 윤석열을 파면한다'는 선고를 내려주길 바란다"고 했다.

김재연 진보당 상임대표는 헌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제 단 한 명의 재판관도 기각이나 각하를 입에 올리지 말아야 한다"며 "무려 넉 달 동안 내란 사태를 지속해 온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해 헌법재판관은 헌법 정신에 어긋남 없이 모두가 파면을 선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창민 사회민주당 대표는 "대한민국에 드리운 불확실성을 완전히 걷어내는 일은 윤석열의 파면"이라며 "헌법재판관 전원일치의 파면 선고를 믿는다"고 했다.
야권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까지 비상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민주당은 이날부터 선고기일까지 모든 소속 의원이 국회 경내에서 비상대기하는 한편,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리는 윤 대통령 파면 촉구 집회에도 계속 참여한다는 방침이다.
진보당은 헌재를 에워싸는 철야 집중 행동에 나선다.

여권은 헌재 결정에 승복하겠다는 메시지를 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취재진과 만나 "당연히 기각을 희망하지만 어떤 결론이 나올지 알지 못한다"면서 헌재 결정에 승복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유혈사태 운운하면서 협박할 일이 아니라 어떤 결론이 나오든 야당 입장에서도 승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재가 빠른 시간 내 (선고)기일을 잡은 것에 대해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환영한다"며 "국민의힘은 헌법재판소의 판결에 승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민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여야 모두 더 이상의 정쟁을 중단하고, 역사에 기록될 엄중한 헌법재판소 심판의 선고를 차분히 기다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헌재 선고를 차분하게 기다린다는 방침이다. 다만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은 탄핵 기각·각하를 기대하며 헌재 앞에서 릴레이 시위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헌재가) 각하·기각 결정을 통해 헌법 수호 기관으로서의 본분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헌재 결정과 관련해 "당연히 기각·각하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박대출 의원도 "사흘 남았다. 4월4일은 4:4"라며 기각·각하를 희망했다.
hanantway@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