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유민주 기자 = 한국 취재진의 질문을 외면하고 돌아섰던 안창옥 북한 기계 체조 선수가 올림픽을 기념한 '핀' 수집에 빠진 모습이 포착됐다. 시상식 셀카로 주목받았던 탁구 혼합복식 리정식·김금영은 외국 관중과 셀카도 찍고 사인도 해주면서 메달리스트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2일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최근 안창옥 북한 기계체조 선수가 선수촌에서 중국 자원봉사자와 배지를 교환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에는 안창옥 선수의 올림픽 등록카드(AD 카드)에 누군가 배지를 달아주는 모습이 담겼는데, 목줄에는 이미 중국, 체코, 아일랜드 등 각국 선수들과 주고받은 다양한 올림픽 배지가 줄줄이 달려있다.
배지를 받은 안 선수도 상대에게 북한에서 가져온 체조 배지를 건넸는데, 배지에는 인공기와 'DPR KOREA'라는 문구가 적혀있고, 중앙에는 체조 링에 매달려 있는 남자 선수 그림이 그려져 있다.

국제 스포츠 대회에서 서로 가지고 있는 핀을 교환하는 이른바 '핀 트레이딩' 문화는 수년 전부터 인기를 모으고 있다. 선수들은 물론 관중, 자원봉사자도 수집한 핀을 옷, 모자, 스카프 등에 장식처럼 하고 다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핀 교환'은 올림픽 선수들 간의 소통과 교류에도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각국에서 온 사람들과 핀을 교환하며 자연스럽게 이야기도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중국 SNS 계정에는 시상식 셀카로 주목받았던 리정식과 김금영 북한 탁구선수들이 외국 관중들과도 사진을 찍는 모습이 공개됐다.
두 선수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북한 변송경 선수가 출전한 여자 탁구 단식 16강전이 열린 프랑스 파리의 사우스 아레나의 관람석에서 응원하던 중 외국 관중의 셀카 요청에 응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국제대회 출전 이력이 없어 세계랭킹도 없었지만 16강전에서 세계랭킹 2위인 일본을 제압하고 은메달까지 따면서 이번 올림픽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김금영 선수는 중국 선수단 관계자에게 사인 요청까지 받아 탁구채에 사인도 해준 것으로 보인다.
또 중국 SNS인 웨이보에서는 리정식 선수가 지난 4월 중국 베이징에서 일본 아식스 운동화 16켤레를 사는 모습이 담긴 동영상이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이날 "북한 선수들이 한국 언론과의 접촉을 꺼리고 있지만 올림픽선수촌에서는 다른 국가 선수들과 자원봉사자들과 자유롭게 교류하는 모습"이라고 보도했다.

youmj@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