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서울시는 지난해 11월15일 시작된 '겨울철 취약계층 특별 보호 대책'을 이달 15일 종료했다고 21일 밝혔다. 4개월 동안 거리 상담 총 6만8000 건, 쪽방 1155곳에 전기이상감지 IoT센터 설치, 고령·중증질환자 147명 관리가 이뤄졌으며 동행목욕탕은 5189명이 이용했다.
특별 대책 기간 중 자치구·노숙인 시설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상담반 53개 조 108명은 거리에서 현장 상담을 제공했다. 총 6만 8912건 중 응급 잠자리 이송 보호(5149건)가 가장 많았으며 △시설 입소(117건) △병원 입원(109건) △119 신고(38건) 등 응급조치를 진행했다.
노숙인 응급 잠자리는 하루 평균 389명이, 무료 급식은 1560명이 이용했다. 시가 제공하는 응급잠자리 이용을 원치 않는 거리 노숙인에게는 침낭 268개, 의류 1만8329벌, 핫팩 9만7724개 등 총 20만6041개의 방한용품을 지급했다.
이 밖에 고령자, 중증질환자 등 한파 피해 우려가 있는 거리 노숙인 129명은 '집중관리대상자'로 분류해 상담원이 노숙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건강 상태를 수시로 확인 등 집중 관리했다.
민간 단체도 거리 상담에 참여해 노숙인의 겨울을 보살폈다. 오래전부터 노숙인을 위해 활동해 온 봉사단체 '거리의천사들'과 '달팽이소원'은 매일 서울특별시립 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 강남권 거리 상담 활동에 함께했다.
서울에 사는 외국인으로 구성된 봉사단체 플러(PLUR-Peace, Love, Unity, Respect)는 매주 일요일 서울역 일대를 돌며 노숙인에게 회원 후원금으로 구입한 핫팩, 간식 등을 나눠주며 봉사활동을 펼쳤다.
일반시민도 서울시 노숙인 위기대응콜을 통해 노숙인 보호에 힘을 보탰다. 대책 기간 동안 총 1139건의 위기대응콜 신고가 접수됐고 △현장 출동 257건 △시설보호 225건을 조치했다.
쪽방 주민의 따뜻한 겨울을 위해서도 다양한 지원이 이뤄졌다. 시는 지난해 9~10월, 화재 위험이 높은 쪽방촌 648개소를 대상으로 선제적으로 안전점검을 진행했으며 노후하거나 불량으로 확인된 전기·가스 시설물 176개는 겨울이 오기 전 개보수를 완료했다.
시는 한파, 야간 화재 사고 등 예방을 위해 주간(918회)과 야간(1010회)에 매일 순찰했으며 쪽방 주민 중 고령 또는 중증질환자 147명은 별도로 관리, 간호사가 총 1만3631회 가정 방문해 건강 상태를 수시로 살피고, 치료가 필요한 주민 410명은 병원에 연계했다.
난방시설이 열악한 쪽방 주민을 위해 동행목욕탕(총 8개소) 중 5곳에서 운영된 '야간 밤추위대피소'는 지난 4개월간 5198명에게 따뜻하고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했다.
jung9079@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