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뉴스1) 장동열 기자 = 세종시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17일 행정수도 세종 완성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양 기관은 이날 세종시청에서 '행복-세종 정책협의회'를 열어 2025년도 주요 업무계획을 공유하며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논의된 주요 업무계획은 '세종 국가상징구역' 조성, 세종지방법원 설치, 지역경제 활성화, 시설물 이관, 첫마을 IC 신설 등이다.
행복청이 추진 중인 국가상징구역은 세종시 신도시 중심부인 세종동(S-1생활권) 일대 약 210만㎡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여기에는 국회 세종의사당, 대통령 2집무실 등 국가 중추기관이 들어설 예정으로, 2집무실은 국제설계공모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 행복청은 공모 운영위원회를 통해 대국민 의견수렴에 나설 예정이다. 시는 대통령 집무실 세종 완전 이전을 공모에 반영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는 이전 분원 개념인 대통령 2집무실 건립에서 한 발 더 나간 것으로, 지역에선 계엄 사태 이후 2집무실을 1집무실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용산 대통령실에 대한 국민 불신이 강해졌고, 청와대는 이미 대중에 개방돼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행복청은 완전 이전은 국민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면서도 시의 요청을 반영해 국제설계공모 시 장래 확장 가능성까지 고려하겠다고 답했다.
지난해 10월 설치 근거가 마련된 세종지방법원의 경우 2031년 개원을 위해 정부예산의 적기 반영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양 기관은 재정 당국과 국회를 적극적으로 설득해 나갈 방침이다.
또한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지난해 구성한 투자유치 원팀을 적극 활용해 기업·복합몰·문화시설 유치 등 도시의 자족 기능을 확충해 나가기로 했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행복도시 상가활성화 종합대책' 후속 조치에 대해서는 정책효과가 가시화될 때까지 모니터링 강화와 기관별 세부 이행 계획들을 철저히 관리하기로 양 기관은 합의했다.

이날 행복청은 행복누림터(복합커뮤니티센터), 공원, 도로 등 시설물이 적기에 이관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주문했고, 세종시는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세종시가 정부 차원의 추진을 요청한 첫마을 IC 설치에 대해서는 행복청이 올해 4차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 시 반영될 수 있도록 면밀하게 검토하겠다고 했다.
김하균 행정부시장은 "행복청은 세종시가 행정수도로 나아가는 데에 필수적인 축이자 세종시의 동반자"라며 "다양한 도전에 맞서 손을 잡고 나아가자"고 주문했다.
강주엽 행복청 차장은 "오올해 업무계획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며 "앞으로 반기에 한 번 이상은 개최해 심도 있는 논의와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화답했다.
pi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