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무리한 땅‧건물 매입 논란…김영환 지사와 '닮은 꼴 투자?'

도‧산하기관, 청소년 공간 마련 등에 수십억 투입
도의원 "세금 아닌 사비였으면 이렇게 했을까"

충북도청 전경. /뉴스1
충북도청 전경. /뉴스1

(청주=뉴스1) 박재원 기자 = 충북도를 비롯해 산하기관의 땅‧건물 매입을 두고 김영환 지사의 부동산 투자 성향이 영향을 주는 게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김 지사는 지난해 10월 열린 국정감사에서 '도지사 아닌 땅지사'라고 불릴 정도로 부동산에 일가견이 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지난해 3월 공개한 정기 재산변동사항(2023년 12월31일 기준)을 보면 김 지사는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전‧대지‧임야 13필지와 사무실‧창고‧아파트 등 건물 5채를 소유하고 있다. 신고액은 토지(7억 4056만 원)와 건물(71억 5819만 원)을 합쳐 총 78억 원 상당이다. 수십 억대 자산가로 인정받을 법도 하지만 알고 보면 '부동산 푸어(poor)'나 마찬가지다.

김 지사 본인과 배우자의 채무는 부동산 신고액과 맞먹는 총 76억 2123만 원에 달한다. 이를 따진다면 김 지사의 부동산은 사채, 금융채무로 만든 사실상 소유권만 가진 '깡통'이나 다름없다.

여기에 매달 채무 이자까지 냈을 때 부동산 가격 상승이 크게 없다면 손해를 볼 수 있다. 투자 전문가들이 봤을 땐 위험성이 큰 투자 전략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논란을 부른 충북도의 부동산 매입 사업도 김 지사와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는 게 주변 평가다.

도는 청소년 전용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상당구 사직대로에 있는 한국산업연수원 청주능력개발원 건물을 사들이려 한다. 지난해 12월 도의회 상임위원회에서는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했으나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이를 부활시켜 올해 본예산에 반영했다.

문제는 김 지사의 공약인 청소년 전용 공간 사업이 방만하게 추진될 수 있다는 점이다. 50년 넘은 건물을 90억 원에 사들인다는 것도 논란이지만, 새로 고치는 리모델링 비용은 1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90억짜리 건물을 사서 100억을 또 투자한다고 하니 아무리 공익사업이라도 이해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본문 이미지 - 충북인재평생교육원이 매입한 옛 우리문고 건물.
충북인재평생교육원이 매입한 옛 우리문고 건물.

충북신용보증재단이 300억∼400억 원을 들여 도청 인근에 땅을 사들여 청사를 신축‧이전하겠다는 계획 역시 적절치 않다는 게 도정 안팎의 시각이다. 김 지사 취임 후 1년 만에 충북은 2023년 기준 실질 지역내총생산이 전년보다 0.4% 감소했다.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전북(-0.2%)과 유일한 감소세를 기록했고, 전국 평균 성장률(1.4%)에도 미치지 못하는 최하위 역성장을 보였다.

이 같은 마이너스 성장과 탄핵 정국 등이 뒤섞여 극심한 소비침체로 이어질 때 충북신보는 세월 좋게 68억 원을 들여 이미 토지를 매입했다. 자본금을 당장 시급하지 않은 신사옥 건립에 투자하는 것보다 소상공인을 위해 과감히 활용할 때라는 지적이 나온다.

충북인재평생교육원이 적절성 논란에도 성안길 옛 우리문고 건물을 94억 6000만 원에 매입한 것도 말이 많다. 경매 시작가 94억 7500만 원에서 한 차례 유찰로 75억 8000만 원까지 떨어진 건물을 감정가로 매입했다. 업무 특성상 민원인 방문이 뜸한 기관에서 굳이 땅값이 비싼 도심을 택하고 여기에 주차장 용지가 300m 떨어져 불편한 곳을 비싼 가격에 사들인 이유에 대해 다들 의아해하고 있다.

도의원들 사이에서도 도와 산하기관의 무리한 부동산 투자 계획을 끝까지 걸러내지 못한 것에 아쉬움을 표한다.

한 도의원은 "산하기관은 도의회 의결권이 없어 이사회 승인으로 예산을 운용해 막을 방법이 없었다"며 "지사는 물론 공무원들이 세금이 아닌 개인 돈이라면 이를 했겠느냐. 혼란한 시국에 민생부터 챙기는 것이 우선"이라고 했다.

ppjjww123@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