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증평 광역쓰레기 소각시설 반대 주민집회

주민대책위 28일 “증설 불가” 가두시위

본문 이미지 -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등 주민 150여명이 28일 오전 괴산읍 자활센터 앞에서 광역쓰레기 소각장 증설과 관련한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 News1
충북 괴산군 괴산읍 능촌리 등 주민 150여명이 28일 오전 괴산읍 자활센터 앞에서 광역쓰레기 소각장 증설과 관련한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 News1

(충북ㆍ세종=뉴스1) 장동열 기자 = 충북 괴산군과 증평군이 공동으로 광역쓰레기 소각시설 건설 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쓰레기 처리장 인근 주민들이 “더 이상 폐기물 소각시설은 안된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괴산군 괴산읍 제월리, 능촌리, 이탄리 등 괴산 쓰레기종합처리장 인근 주민 150여 명은 28일 오전 괴산읍 자활센터 앞 광장에서 집회를 열어 '괴산 광역 생활쓰레기 소각시설 및 생활자원회수센터' 건설계획의 취소를 요구했다.

이들은 집회를 마친 뒤 '세계유기농산업엑스포 개최지에 광역쓰레기 매립장이 웬말이냐'는 플래카드를 앞세우고 괴산군청 앞까지 가두시위를 벌였다.

쓰레기 소각시설 반대 주민대책위원회(위원장 이승희)는 이날 “주민들은 16년간 자연환경 파괴와 생활의 직·간접적 피해로 고통을 받아왔지만 참아온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설명회도 열지 않은 채 쓰레기 소각로를 증설해 광역시설로 운영하려는 것은 말도 안된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군은 2022년까지만 쓰레기 매립장을 사용하겠다고 약속했다”면서 “대규모 소각시설이 추가로 들어서면 환경적인 피해는 물론 땅값 하락 등 경제적인 피해가 크다”고 지적했다.

김진래 대책위 사무국장은 “쓰레기 처리장 증설 계획이 철회될 때 까지 강력한 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문제가 된 능촌리 괴산 쓰레기종합처리장에는 괴산군과 증평군이 157억원을 들여 2017년 8월까지 '괴산 광역 생활쓰레기 소각시설 및 생활자원회수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오는 11월까지 설계를 마친 뒤 12월에 공사에 들어가 2017년 7∼8월에 준공할 계획이다. 이 시설은 괴산군과 증평군에서 나오는 생활쓰레기를 1일 40t 소각하고 15t을 재활용 처리하게 된다.

공동 소각시설이 건립되면 단독으로 사업을 추진할 때보다 48억원의 투자예산과 연간 3억원의 운영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주민 반발에 직면한 것이다.

괴산군 관계자는 “현재 사용하는 소각로 시설이 낡아 증설이 불가피하다”며 “환경영향 조사와 주민협의체 구성 등을 통해 쓰레기매립장 인근 마을에 보상형식의 지원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pinechang@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