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뉴스1) 유승훈 기자 =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전북 완주-전주 행정 통합의 타당성이 인정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단, 양 지역 갈등 완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조건도 제시했다.
2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방시대위는 완주군과 전주시가 통합해 75만 대도시를 구성하면 거점도시 기능 강화에 따라 인구 유출이 완화되고 생활권-행정구역 일치로 주민 편익이 증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 시너지 창출 및 지역발전 효과도 거둘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시대위는 전북 최대 도시 전주시와 유일한 인구성장 지역인 완주군 모두 성장거점 역할이 부족하고 장기적으로 인구 감소가 예상돼 지속 가능성이 적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시대위는 완주군이 단기적으론 전주시 대비 산업 여건과 고용 창출이 양호하나 중장기적으론 산업단지 노후화 등으로 지속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시대위는 재정자립도 기준으로 전주시의 지속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나 양측 모두 2050년까지 재정자립도가 하락해 여건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대위는 인구, 생활·경제권, 발전 가능성, 지리적 여건 등 다양한 지표를 분석해 양 지역의 통합이 타당하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시대위는 인구 집중 전주시 인접 완주군 3개 읍(용진·삼례·봉동), 1개 면(이서)은 주거·진학·교통·소비·생활·인프라 등에서 이미 동일 생활권이 형성된 상태라고 봤다. 전주시와 완주군이 통합되면 행정구역 분리로 인해 발생하는 주민 불편과 행정 비효율이 해소될 수 있다는 의견도 냈다.
양 지역 장단점을 결합·보완하면 도시 인프라와 개발 가용지를 활용한 기업 투자유치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고 생활권에 상응하는 교통망 확충을 통해 정주 여건도 크게 개선될 것이란 게 시대위의 전망이다.
시대위는 지역 통합으로 대규모 투자유치에 성공한 청주와 같이 지역 경쟁력이 높아지고 대규모 국제행사 추진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해 지역발전을 견인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아울러 시대위는 통합 이후 정서적 화합을 위한 여건도 양호할 것으로 보고, 행정 효율 향상과 전주·완주 산업 연계에 따른 지방세 수입 증가도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시대위는 중앙부처의 통합도시 자생력 확보를 위한 행·재정·산업·지역개발 등 과감한 인센티브 부여와 특례시 지정, 행정구 구획 변경 등 폭넓은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양 지역엔 갈등 완화를 위한 면밀한 주민 의사 파악 및 공감대 형성 노력을 주문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시대위가 면밀한 분석을 통해 통합으로 지역발전에 서로 도움이 될 수 있단 결론을 내린 만큼 양 지역 간 상생발전을 위한 진지한 대화의 장이 조속히 마련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앞으로 행안부는 시대위가 의결한 통합 검토 결과를 토대로 지방의회 의견 청취 또는 주민투표를 통해 각 지역의 통합 의사를 확인하게 된다.
9125i1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