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뉴스1) 홍수영 기자 = 제주도가 오래된 공업지역을 재정비하고 새로운 먹거리 산업을 준비한다.
21일 도에 따르면 도내 공업지역(5.79㎢) 중 20.7%에 해당하는 '도시공업 지역' 8곳(1.2㎢)을 정비하기 위한 '2030 제주도 공업지역 기본계획안'이 마련됐다.
'도시 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이번 기본계획안은 '지역 산업 고도화 및 신산업 육성 기반 조성'을 비전으로 삼아 3개 목표 9개 전략을 담았다.
지역별로 보면 △화북 공업지역은 산업 관리·정비형, △토평·한림·도두·세화·성산포·경림산업 공업지역은 산업관리형, △김녕 공업지역은 기타형으로 분류됐다.
특히 당초 다른 곳으로 이전하려다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계획이 무산된 화북 공업지역에 대해서는 새로운 계획이 마련됐다.
제주도는 화북 공업지역의 57%를 차지하는 미개발 부지(38만 8949㎡)에 도가 중점 육성하는 청정바이오, 그린수소, 신재생에너지 관련 업종을 유치할 계획이다. 도는 또 2026년 3월까지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해 주거지와 상충하는 업종을 제한할 방침이다.

토평 공업지역의 경우 기존 업종을 활용하되, 사유지 매입 및 공원부지 활용을 통해 주차장 등 지원 기반 시설을 확보하고 보행 동선 개선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도는 오는 30일 제주웰컴센터에서 공청회를 열어 전문가와 도민 의견을 수렴한다. 도는 이후 도의회 의견 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오는 7월 최종 기본계획을 공고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계획을 통해 도내 공업지역의 체계적인 관리와 함께 신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gwi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