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뉴스1) 고동명 기자 = 제주도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추진하는 '건강주치의'가 7월부터 제주시 원도심과 일부 읍면지역에서 시범적으로 도입될 전망이다.
고병수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 사업 추진위원장은 24일 제주웰컴센터에서 열린 도민공청회에서 건강주치의 실행모델안을 공개했다.
제주형 건강주치의 제도는 제주도의 지역의료 혁신 정책이다. 거주지 가까이에서 질병 예방부터 치료, 관리까지 통합적인 의료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조례 개정과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 등 행정 절차를 거쳐 오는 7월부터 65세 이상과 12세 이하를 대상으로 제주시 원도심인 삼도1·2동, 서부권인 대정읍, 안덕면, 애월읍을, 동부권에서는 표선면, 성산읍, 구좌읍 등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된다.
주치의 자격은 전문과목 상관없이 의사면허를 가진 누구에게나 개방되나, 관련 교육을 이수해야 활동할 수 있다.
제도를 이용하려는 도민은 자신의 거주지와 상관없이 사업지역 내 주치의 의료기관을 방문해 1명의 주치의를 선택·등록하면 된다.
건강주치의는 등록 환자에게 △건강 위험 평가 △만성 질환 관리 △건강 검진 △예방접종 △건강교육 △비대면 건강·질병 관리 △방문 진료 △진료 의뢰 △회송관리 △요양·돌봄·복지 연계 등 10대 서비스를 제공한다.
건강주치의에 참여한 의사와 환자들에게는 인센티브를 지급한다는 내용도 이번 실행모델안에 담겼다.
도는 건강주치의 지원센터 및 지역사회 보건의료팀을 구축해 △주치의 등록 환자 현황 관리 △의료기관 비용 산출 관리 △지역사회 자원 파악 및 연계·협력 △시범지역 방문 진료 지원 등의 업무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kd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