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뉴스1) 유재규 기자 = 경기 광명시가 시민과 함께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시민 중심 기후적응사회' 비전을 제시했다.
시는 24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시민 중심 기후적응사회 광명' 정책브리핑을 갖고 광명형 탄소중립 정책의 성과와 방향을 발표했다.
'기후적응사회'란 기후 위기를 단순히 환경 문제로 국한하지 않고 정책, 경제, 교육, 복지, 도시계획 등 사회 모든 영역에서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는 단기적으로 감축 실적에 집중하기보다는 시민과 함께하는 탄소중립 실천이 탄소중립 정책을 실현하는 주 핵심으로 삼고 있다.
지난해 9월 참여자 1만 명을 돌파한 시 대표적 시민 주도형 기후 운동인 '1.5℃ 기후의병'이 대표적이다. 지구 온도 1.5℃ 상승을 막자는 의미를 가졌다.
2021년 9월 150명으로 시작해 2024년 9월 1만 명을 돌파하고 올 3월 말 기준 1만2909명의 기후의병이 활동 중이다.
시는 탄소중립 주요 정책 중 하나인 에너지 전환에도 시민 참여 체계를 구축했다.
2019년 11월 설립 후, 현재 380여 명의 조합원이 참여하고 있는 광명시민에너지협동조합은 광명동굴 주차장 등 공공시설 내 유휴부지에 6기의 태양광 발전설비 60만 9745kW를 설치해 연간 약 770MWh의 발전량을 공급하고 있다.
다양한 탄소중립 시민교육도 운영 중이다.
일상 탄소중립 실천을 배울 수 있는 '광명형 넷제로 에너지카페'를 운영하고 있으며 기후 위기 대응과 에너지 전환을 주제로 한 교육 프로그램인 '광명비(BEE)에너지학교'도 진행하고 있다.
시민 입장에서 탄소중립을 교육할 수 있도록 2021년 기후에너지 시민강사 제도를 도입했다. 올 4월 기준, 현재 총 27명의 시민강사를 양성했다.
올해도 시민과 함께 지속 가능한 기후적응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
시는 기후 위기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과 공동 대응의 필요성을 공유할 수 있는 '광명시 기후 주간'을 운영할 계획이다.
기후 주간은 △기후 회의와 포럼을 중심으로 한 정책 부문 △우수사례 공유회와 영상 공모전 등 시민 참여 및 콘텐츠 부문 △기후뮤지컬, 기후영화제 등 문화 프로그램 부문으로 구성된다.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광명형 탄소중립 모델을 국내외로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기후 위기 시대에 탄소중립은 가장 시급한 과제로 시민 참여 없이는 절대 이뤄낼 수 없다"며 "사회 모든 영역에서 기후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회복력을 가진 도시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ko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