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뉴스1) 이상휼 기자 = 경기 동두천시에 위치한 미2사단 캠프 케이시를 거쳐야 출입할 수 있는 '걸산동 마을'의 주민들이 캠프 케이시 출입·통행 허가증을 추가로 받지 못하게 되자 미군기지 앞 무기한 시위를 예고했다.
15일 동두천시 지역발전 범시민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오는 21일부터 시민들은 캠프 케이시 앞에서 무기한 릴레이 1인 시위를 벌인다.
시위의 이유는 캠프 케이시를 거쳐야 지나갈 수 있는 동두천시 '걸산동'의 신규 전입자에 대한 미군부대 출입·통행증 발급 중단에 대한 반발이다.
53가구, 92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진 걸산동은 미군기지로 둘러싸여 지역민들 사이에서 '육지 섬'이라 불린다. 걸산동은 동두천 보산동에서 캠프 케이시를 통과하면 10분 내외로 도착할 수 있지만, 미군부대 출입이 막힐 경우 걸어가기 어려운 임도로 1시간 이상 우회해야 한다.
미2 사단은 3년 전인 2022년 6월부터 걸산동 신규 전입자에 대한 출입·통행증을 발급해 주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신규 전입자 4명이 집에 제대로 가지도 못하거나 임도를 거쳐 어렵게 겨우 오갈 수 있는 형편이다. 야간이나 눈·비가 오는 날에는 통행이 불가능해 주민들이 고립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에 대해 시는 "걸산동 우회도로 개설을 위해서는 수백억 원에 달하는 예산이 필요한데 실현 불가능하며, 현실적으로 미2사단이 기존처럼 허가증을 내주는 것이 가장 수월하다"고 설명했다.
시위를 주도하는 범대위는 "국가안보를 위해 동두천시민들이 70년 동안 희생했다"며 "정부와 미군의 무책임한 행동으로 국민이 마땅히 누려야 할 거주 이전의 자유를 침해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2014년 동두천에 미군기지가 잔류하기로 결정됨에 따라 정부가 보상을 약속한 지 어느덧 10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정부를 규탄했다.
그러면서 "걸산동은 진출입 도로가 없어 기존 주민들의 주택 및 토지 매매 등의 재산권 침해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가 걸산동으로의 신규 전입을 막아 결국 지역 소멸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동두천시는 대표적인 주한미군 주둔지로 지난 70년간 미군과 함께 대한민국의 안보를 책임져 왔다. 동두천은 시 전체 면적의 42%에 달하는 노른자 땅을 무상으로 미군에게 내어주며 시 추산 연평균 3243억 원의 주둔 피해를 입고 있다. 이를 70년으로 환산하면 무려 25조 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daidaloz@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