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양=뉴스1) 박대준 기자 = 경기 고양시가 주거 비율을 2배가량 늘린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변경안'을 내놓자 고양시의회가 반대하고 나섰다.
15일 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고양시는 경자구역 신청을 앞두고 사업성을 높인다는 이유로 주거 비율을 상향 조정하는 안을 제시했다.
당초 개발계획은 경자구역 내 주택을 2만 8000세대 짓는 것으로 계획했지만, 변경안은 송포·가좌지구에 2만 2690세대, 장항·대화지구에 2만 7840세대 등 총 5만 530세대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최근 고양시가 보도자료를 통해 “주거 위주의 성장으로 도시의 자족 기능이 부족했기 때문에 ‘2040 도시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산업 중심의 자족도시로 나아가겠다”는 입장과도 배치된다.
이에 김운남 고양시의회 의장은 “이번 경제자유구역 개정계획 변경안은 고양시가 자족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베드타운으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김 의장은 “‘주택공급 확대’는 경제자유구역의 핵심 목적에 부합하지 않으며, 주거 공간은 산업 중심 개발을 보완하는 수준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공급 규모만 놓고 보면 3기 신도시인 창릉지구(3만 8000여 세대)를 뛰어넘는 수준이다. 산업은 뒷전이고 주택공급이 앞서는 구상은 결국 ‘경제’ 자유구역이 아닌 ‘주택’ 자유구역으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며 변경안의 재검토를 요구했다.
한편 고양시는 주민공람과 산자부의 사전 자문을 거친 뒤 올해 상반기 중 경자구역 신청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djpar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