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뉴스1) 송용환 기자 = 담보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원활한 자금 융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경기신용보증재단 직원들이 극심한 인력난과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신보 노조가 ㈜우리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3월 31일부터 4월 2일까지 '재단 정원 증원 관련 내부 현장 직원의 인식과 판단 점검'을 주제로 모바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전체 조합원 30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236명이 참여해 응답률 77.1%를 기록했다.
정원 문제와 관련해 응답자의 98.3%는 '정원 부족'을 지적했다. '매우 부족' 76.8%, '다소 부족' 21.5%였다.
실제 경기신보 코로나19 발생 전후 직원 1인당 보증공급은 2017년 6만 4393건에서 2024년 10만3511건으로 급증했다.
반면 보증담당 인원은 2017년 133명에서 2024년 162명으로 업무폭증에 따른 충원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 2월 기준 경기신보 인력은 총 496명으로 노조는 업무량 증가에 따른 현장 필요 인력 135명, 도민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기관 혁신 추진 필요 인력 42명 등 최소 177명 충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원 증원' 규모와 관련해 응답자 85.1%가 '100명 이상 증원 필요'를, 52.3%는 '177명 이상 증원 필요'라고 답했다.
'과도한 업무량으로 휴직 또는 퇴직을 고려한 적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71.8%가 '매우 또는 다소 고민한 적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추가 인력 증원 없이 디지털 전환만으로도 현재 업무량을 소화할 수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단 3.5%만이 공감했고, 대다수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경기신보 노조는 "업무량 폭증에 따른 보증지원 지연으로 어려운 소상공인들이 사채시장으로 내몰려 더욱 어려운 상황에 부닥치고 있는 실정"이라며 "업무량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정원 문제에 대해 관리·감독 기관인 경기도는 현장 의견을 반영해 책임 있는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sy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