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뉴스1) 김평석 기자 = 경기 용인시가 오는 2040년까지 자연적·사회적 인구 증가를 반영한 시의 목표 인구를 152만 4000명으로 계획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시는 또 기존 '2035 용인도시기본계획' 이후 변화된 여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 2도심 체계였던 도시공간구조를 3도심 1부도심 3지역 중심 도시 공간 구조로 재편하기로 했다.
시에 따르면 3도심은 △GTX 구성역을 중심으로 한 경제 도심 △시청을 중심으로 한 행정 도심 △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설 이동·남사 중심의 산업 도심이다.
이를 위해 시는 최근 '2040년 용인 도시기본계획안'에 대한 의견을 듣기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시는 계획안에서 '사람과 자연이 함께하는 미래 첨단도시, 용인'을 미래상으로 정하고 △미래도시 전환을 위한 경제 자족도시 △교육·문화를 향유하는 쾌적 주거 도시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연결 중심도시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청정지속 도시를 4대 목표로 제시했다.
계획안엔 삼성전자가 320조 원을 투자하는 이동·남사읍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778만㎡·235만 평)와 약 1만 6000가구가 입주하는 이동읍 덕성리·묵리·시미리 일원 '용인 이동 공공주택지구'(약 228.3만㎡·69만 평) 등도 반영됐다. SK하이닉스가 120조 원을 투자하는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415만㎡·126만평)도 고려했다고 한다.
이번 계획안에 대한 의견은 오는 23일까지 시 도시정책과를 방문하거나 우편 또는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시는 주민 의견 수렴, 시의회 의견 청취, 부서 협의, 시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올해 안으로 계획안에 대한 도의 승인을 받는다는 계획이다.
ad2000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