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뉴스1) 최대호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31일 미국 트럼프 정부의 자동차 관세 정책과 관련해 "국회와 정부, 경제계가 '팀 코리아'로 총력을 다해 관세 전쟁에 대응하자"고 제안했다.
이날 평택항 동부두에서 열린 민관합동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한 김 지사는 "국익 앞에 여야는 없어야 한다. 모든 지혜와 힘을 모으자"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완성차 4월 3일·자동차 부품 5월 3일 이전 관세 부과를 예고한 바 있다.
김 지사는 "경제만큼은 여·야·정부, 기업들이 원팀으로 똘똘 뭉쳐야 한다. 막판까지 관세 면제, 유예를 끌어낼 수 있도록 협상에 사력을 다해야 한다"며 "지금이라도 '경제 전권대사'를 임명하고 관세 문제를 비롯한 대외 경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자"고 거듭 호소했다.
그러면서 "한덕수 대행이 이끄는 지금의 정부는 국민의 지지와 신뢰 부족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여·야·정 합의로 조속히 경제특명 전권대사를 임명해야만 미국을 포함한 타국 정부를 제대로 상대하고 경제외교 공백을 해소할 수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김 지사는 "지금 '관세 타이머'를 멈추지 않는다면 앞으로 대한민국 경제에 씻을 수 없는 과오와 실수를 저지른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어 "대기업 한두 곳만의 문제가 아니다. 수천 개의 1차 벤더, 2차·3차 벤더까지 큰 타격이 예상된다"면서 "이러한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중앙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는지. 또 정치권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개탄했다.

이날 자동차 수출기업인들과의 현장간담회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 리더십 공백이 확인된 자리였다.
간담회에 참석한 다수 관계자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는데 정부 대책은 전무했다"거나 "정부가 어떤 식으로 흘러갈지 정책방향을 내지 않은 사이 앉아서 막대한 관세폭탄을 맞게 됐다" "이 방향으로 가자는 정부의 대안 제시가 없어 발만 동동구르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한 중소기업인은 "당기순이익의 90%가 환차익이고, 영업이익은 없다시피 한 상황에서 수백억 관세를 지출하면 도산하는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김 지사는 "자동차 분야 관세 피해 중소기업에 500억 원 규모의 긴급특별경영자금을 지원하겠다"며 "장기적으로 일자리 감소나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해서 면밀하게 대책을 수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un070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