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뉴스1) 송용환 기자 = 경기도내 횡단보도나 인도에 전동킥보드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PM)를 마구잡이로 방치하는 문제를 도 차원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4일 김동영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 남양주4)에 따르면 도내엔 작년 9월 기준 6만 7841대의 PM이 운영되고 있으며 그 불법 주정차 문제도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다.
현재 도내 27개 시군(안성·양평·연천·포천 제외)이 불법 주정차 관련 조례를 제정해 시행하고 있다. 이들 지자체는 견인 조항 및 견인시 1만원에서 최대 3만원까지 견인료를 부과하는 내용이 포함된 조례도 운영하고 있지만 현장 단속은 쉽지 않은 실정이란 게 김 의원의 지적이다.
불법 주정차 방지를 위한 도내 PM 전용 주차장은 작년 10월 기준 1385개소(주차대수 8207)다. 유형별로는 거치형(일반형) 729개소(1192대), 거치형(충전형) 298개소(1192대), 노면형 357개소(3055대), 부스형 1개소(20대)다.
그러나 PM 사용자들은 이 같은 전용 주차장을 찾는 대신 자신의 편의를 이유로 횡단보도나 인도 등에 불법 주정차한 뒤 떠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김 의원은 "PM의 불법주정차 문제로 인해 사망사고를 포함한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도로 관할청이 시군이라는 이유로 경기도는 방관하고 있다"며 "도 차원에서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PM의 불법주정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고, 시범사업을 통해 효과가 검증된 신기술에 대해서는 도 전역에 적용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문했다.
sy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