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뉴스1) 서충섭 기자 = 일제강점기 시절 멕시코와 쿠바로 이주한 한인 후손들이 120년 만에 귀국하면서 이들 선조의 훈장 서훈 절차를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일 전남대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인천공항을 통해 멕시코와 쿠바 한인 후손 30여명이 입국했다.
1905년 이주한 이들의 선조는 오는 6일까지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서대문형무소,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등 고국의 흔적을 탐방하고 있다.
전남대 김재기 교수 연구팀이 이들 한인 후손의 서훈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훈 전수자는 4명, 미전수자가 9명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대한인국민회와 대한여자애국단 등 독립운동 자금을 낸 공로로 서훈 추서가 가능한 13명이 새롭게 발굴됐다.
국가보훈부 공훈전자사료관 분석을 통해 서훈이 추서됐으나 후손들에게 전수가 안된 미전수자 9명은 박창운(건국훈장 애족장 2011), 김윤원(대통령표창 2016), 임병일(건국포장 2015), 이우식(건국포장 2011), 김상준(건국포장 2024), 윤창배(건국포장 2022), 이돈의(대통령표창 2017), 양희용(건국포장2022), 김태식(대통령표창 2015)이다.
이번 고국 방문을 통해 새롭게 서훈 추서 가능 여부가 발굴된 13명은 황진실(멕시코대한여자애국단), 현미숙(쿠바대한여자애국단), 박선봉(쿠바대한인국민회), 김덕기(멕시코대한인국민회), 김기용(멕시코대한인국민회), 김학용(멕시코대한인국민회), 박희경(쿠바대한여자애국단), 임경옥(쿠바대한여자애국단), 이원실(멕시코대한인국민회), 오천일(멕시코대한인국민회) 등이다.
김재기 교수는 "이번에 고국을 방문한 13분의 후손들이 미국으로 돌아가기 전 가족 관계를 파악하고 서훈 추서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보훈부에 촉구했다.
zorba85@news1.kr